서울시 관계자들이 2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안전성 조사 부적합 제품을 공개하고 있다. 테무·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판매 중인 아동용·유아용 동절기 섬유제품 26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 내구성 항목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했다. /뉴스1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테무’에서 판 어린이용 겨울옷에서 기준치의 622배가 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에서 판매한 어린이용 겨울옷 26개 제품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돼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이 중 테무에서 판매한 어린이용 재킷, 점프슈트(상의와 하의가 붙은 옷)에서 각각 국내 기준치의 622배, 294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첨가제’가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첨가제는 딱딱한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화학 약품이다. ‘환경호르몬’ 중 하나로 어린이의 성장을 방해한다. 이 재킷에서는 중금속인 카드뮴도 기준치의 3배 넘게 나왔다. 카드뮴은 간이나 신장에 쌓여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점프슈트의 경우 손목 부분의 산성도(pH)가 7.8로 기준치(4.0~7.5)를 초과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오랫동안 피부에 닿으면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알리에서 판 아동용 멜빵바지의 지퍼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19배 넘게 검출됐다.

서울시는 지난 4월부터 매주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파는 ‘해외 직구’ 제품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다음 달에는 크리스마스트리 장식품, 장난감 등을 검사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