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득남한 배우 정우성과 문가비. /아티스트컴퍼니·인스타그램

배우 정우성(51)과 모델 문가비(35)가 결혼하지 않고 지난 3월 득남한 소식이 알려지면서 비혼출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8월 공개한 ‘2023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외 출생자는 1만900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1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수치로, 전체 출생아 23만명의 4.7%를 기록했다. 작년에 태어난 아기 20명 중 1명이 비혼출생인 셈이다.

비혼출생자는 3년 연속 증가했다. 2013년 9300명에서 2020년 6900명까지 줄었다가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으로 늘었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혼외 출생률인 41.5%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 통계청은 “한국과 일본의 비혼출생자 출생률이 매우 낮은 것은 보수적인 가치관 때문”이라며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보다 포용적인 수용 자세는 출산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혼외 출산 비율은 2018년 2.2%로 2%대를 넘어선 후 급속하게 비중이 높아져 2022년 3.9%로 3%에 들어섰고 지난해 처음으로 4%대에 진입했다.

주택 구입 등의 이유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결혼 상태를 유지하거나 단순 동거가 느는 등의 사회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배우 김용건(왼쪽)이 2021년 얻은 늦둥이 아들과 영상통화하는 모습./뉴스1·채널A

전통적인 가족제도 개념이 점점 흐려지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배우 김용건, 정우성 등 결혼하지 않고 아이 양육만 책임지거나 방송인 사유리처럼 정자은행을 통해 자발적 비혼모가 된 사례가 연예계에서도 종종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 12일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67.4%로 2년 전보다 2.2%포인트(p) 증가했다.

또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 역시 37.2%로 2년 전보다 2.5%p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출생아는 10년 전인 2013년(43만7000명)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970년 출생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로, 합계출산율이 2.1명이어야 현재의 인구수준이 유지되는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