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당시 경기남부경찰청의 계엄 상황 관련 무전 기록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단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조지호 경찰청장의 지시에 따라 경기남부청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청사 2곳에 약 200명의 경력을 투입한 상황을 재구성하기 위해 당시 무전 기록을 확보했다. 수사팀은 선관위 주변 경력 배치가 어떤 맥락에서 결정됐는지 파악할 방침이다.
앞서 조지호 경찰청장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청사 등에 경력을 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남부청은 조 청장 지시로 오후 11시 25분 이후 경기 수원 소재 선거연수원과 11시 48분 이후 과천 소재 중앙선관위에 각각 기동대 1개 중대를 배치했다.
전담수사팀은 서울경찰청으로부터 국회 주변에 투입됐던 경찰관들의 무전 내용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회 출입 통제 지시의 출처와 전달 경로를 규명하겠다는 구상이다. 국회 봉쇄 조치가 어느 단계에서, 누구의 결정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해 무전기록을 통해 분석할 방침이다.
아울러 수사팀은 지난 6일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등 사건 핵심 인물 4명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받아 디지털 포렌식 작업에 착수했다.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메신저 기록 등을 면밀히 살펴, 계엄령 선포 직후 경찰 지휘부 간 어떠한 지시와 보고가 오갔는지, 불법 행위 정황이 있었는지를 규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