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 조종사는 사고 4분 전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조난) 신호를 보낸 후 사고 직전엔 관제탑과 교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30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 국토부 기자실에서 진행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에서 “조종사가 8시 59분쯤 조류 충돌로 비상(메이데이)을 선언하고 복행(착지하지 않고 고도를 높이는 것)을 했다”고 말했다. 당시 보낸 신호가 처음이자 유일한 조류 충돌 신호였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이어 “복행할 때 관제사의 지시 유도 과정에서 어느 순간에 소통이 원활치 않고 단절됐다. 이후 기체가 착지하고 충돌하는 상황이 전개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관제탑과의 교신이 어려웠던 시간 급박한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어떤 이유에서 그런 상황(조난 상황)이 생겼는지는 지금으로서는 모든 게 추정일 뿐”이라며 “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를 조합해서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무안공항 관제탑은 오전 8시 57분 조류 활동(충돌) 경고를 했고, 2분 뒤 조종사는 조난 신호를 보냈다. 당시 조종사는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를 외친 뒤 ‘버드 스트라이크,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라고 통보했다.

이어 사고기는 9시 당초 착륙하려던 활주로 방향(01활주로)의 반대쪽에서 진입하는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고, 9시 3분쯤 랜딩기어(비행기 바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착륙하다가 구조물에 충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