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한 3일 서울 용산구 관저에서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공조수사본부는 3일 박종준 대통령 경호처장에게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을 제시하고 협조를 요청했지만, 박 경호처장은 ‘대통령경호법상 경호구역을 이유로 수색을 불허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위해 대통령 관저에 투입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관들과 경찰 형사들은 관저 건물 앞에서 대통령 경호처와 대치 중이다.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투입된 수사관들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에 진입한 후 경호처 직원 및 군부대와 대치했다.

이들과 약 2시간 정도 대치를 벌이던 체포조는 저지선을 뚫고 이날 오전 10시쯤 윤 대통령 관저 앞에 도착했다.

하지만 이들을 박 경호처장을 비롯한 경호처 측이 경호법과 경호 구역을 이유로 관저 진입을 막아서면서, 또다시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는 공수처에서 30명, 경찰 특수단에서 120명이 투입됐다.

앞서 오동운 공수처장은 체포영장을 대통령경호처가 막아설 경우에 대해 “경호처에 집행 방해시 특수공무집행 방해로 의율할 수 있음을 이미 경고했다”며 반대가 있어도 적법한 절차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 관계자 또한 “가급적 오늘 내로 영장을 집행하기 위해 의지를 가지고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전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 윤석열 대통령의 변호인을 맡고 있는 김홍일·윤갑근 변호사도 대통령 관저로 들어갔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11시쯤 본지 통화에서 “상황 중재를 위해 공수처 측 현장책임자와 대화하려고 관저 안으로 들어왔다”면서 “공수처 관계자들에게 ‘이것은 국격에도 맞지 않으니 일단은 물러나라’고 설득했고, 공수처 측에서도 처음에는 납득하는 것 같았지만 자기네끼리 얘기하더니 ‘오늘 (체포영장을) 집행하겠다고 하고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대치 상황과 관련해서 윤 의원은 “물리적인 충돌은 전혀 없다”고 전했다. 또한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인원들은 관저 정문에서 수 백 m 가량 올라왔고, (이 지점에서) 대치선이 형성된 상황”이라면서 “경호처와 대통령실 비서진 일부가 못 간다고 막고 있다”고 말했다.

김홍일·윤갑근 변호사 등 이들 변호인단은 관저 내부에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변호인단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내란죄 수사 권한이 없는 공수처의 영장 청구는 위법으로, 영장 발부는 위헌·위법적 행위로 원천 무효”라며 “이를 집행하는 것은 위법”이라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진입한 가운데 관저 입구가 차량으로 통제되고 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