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됐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8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눈은 6일까지 이어져 경기·강원 3∼10㎝, 서울 3∼8㎝, 인천 1∼5㎝ 등의 적설이 예상된다.
이날 낮 12시 현재 대설주의보가 내려진 곳은 수도권에서는 서울 서북권 제외한 서울 전 지역과 경기도 광명· 시흥·포천·가평·양주·의정부·수원·성남·구리·남양주·의왕·하남·화성·양평 등이다. 강원 지역에서는 평창평지와 횡성,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등에 대설주의보가 내려졌다.
오전 10시 현재 대설특보가 내려진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에는 시간당 1∼3㎝씩 눈이 쏟아지고 있고 충남내륙·전북내륙·제주산지엔 시간당 1㎝ 미만으로 눈이 내리고 있다.
또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외 중부지방과 전라동부, 경상서부 등엔 눈발이 날리고 있다.
오전 10시 현재 경기 파주 적성면에 10.7㎝, 도라산엔 10.5㎝ 눈이 쌓였다. 경기 동두천은 현재 적설이 8.8㎝, 강원 철원군 임남면은 8.3㎝이다. 서울(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에도 5.2㎝ 눈이 쌓였다. 인천과 경기 수원에는 각각 5.2㎝와 3.7㎝ 적설이 기록됐다
기상청은 “밤이 되면서 눈과 비가 대부분 그치겠으나, 경기남부·경기북동부·강원내륙·강원산지·충청·호남·경북북부내륙·경북북동산지·제주 등에서는 6일 오전까지 이어질 수 있겠다“고 했다.
예상 적설량은 서울 3~8㎝, 인천·경기남서부 1~5㎝, 경기북부·경기남동부 3~10㎝ 등이다. 또 강원내륙·산지 3~10㎝, 충북북부 3~8㎝, 충남북부내륙·충북중부 1~5㎝, 세종·충남북부서해안·충북남부 1㎝ 내외, 전북동부·전남동부내륙 1㎝ 내외, 경북북부내륙·북동산지 3~8㎝, 경북남서내륙·경남북서내륙 1㎝ 내외, 제주도산지 1~5㎝ 등이다.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인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이날 대설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제설 인력·장비를 총동원하고, 교통 혼잡 등 국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대책을 추진하라고 관계기관에 지시했다.
또한 비닐하우스, 축사, 노후 건축물 등 적설 취약 시설과 공연장 및 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붕괴 우려 시 소방 및 경찰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신속한 대피와 출입 통제를 추진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재난문자·재난방송을 활용해 기상특보 및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감속운행을 홍보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