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국제공항의 여객기 참사 다음 날인 지난달 30일 인천의 한 중소기업이 ‘6개월 영업 금지’라는 철퇴를 맞았다. 전날 사고 지점에서 300㎞가량 떨어진 서울 여의도공원 인근 한강 유람선 위에서 2분 남짓 불꽃을 쐈다는 이유였다.
현대해양레져라는 이 업체가 유람선을 띄운 시각은 오후 5시. 배에는 이 회사가 무료로 초청한 다문화 가정 어린이와 사회 봉사 단체 구성원 70여 명, 외국인 관광객 등 200여 명이 탔다. 업체는 이전부터 유람선 정원의 10%를 사회 소외 계층에게 무료로 내줘 왔다. 이날 운항은 서울시가 연말 행사인 ‘한강 페스티벌 겨울’의 하나로 사전 승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서울시는 2시간여 전인 오후 2시 40분쯤 갑작스럽게 운항 취소를 요청했고, 업체 측에선 “이미 예약돼 있어 일방적 취소가 어렵다”고 했다. 업체 대표는 7일 통화에서 “당초 참사 때문에 불꽃을 쏘지 못할 수 있다고 안내하자 이날 초청한 다문화 가정 어린이 일부가 울기도 했다”고 말했다. 결국 유람선 승객들은 참사 희생자를 애도한 뒤 출발했고, 이후 선상에서 2~3분가량 50여 발의 불꽃을 지켜봤다.
하지만 유람선의 불꽃 사진이 소셜미디어로 퍼지며 비난 여론이 일자, 서울시는 철퇴를 꺼내 들었다. ‘6개월간 서울 시계(市界) 내 한강 유람선 운항 전면 금지’와 ‘협력 사업 전면 중단’이란 중징계였다. 이 유람선 업체는 경기 김포에서 출발해 서울 한강을 둘러본 뒤 돌아가는 노선을 갖고 있다. 그런데 서울로는 들어오지 못하게 한 것이다. ‘반년간 영업정지’란 조치는 매출 44억여 원짜리 중소기업에는 큰 타격일 수밖에 없다.
업체 대표가 “(정부의) 국가 애도 기간 선포 전이었고 너무 급작스러운 상황이라 미숙한 판단이었다”며 “너무 어려운 관광 업계의 현실이 하지 못할 행사, 하지 말아야 할 행사를 구분하기 어렵게 한 것 같다”고 사과했지만 소용없었다. 이 업체는 소외 계층 무료 초청 등 관광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산업포장과 서울시 관광 동행 대상을 받은 곳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업체도 실수를 인정하고 있어 상호 협의하에 6개월 운항 금지 조치를 내린 것”이라고 했다.
참사 당일 불꽃 쇼를 비난하는 목소리는 충분히 이해한다. 비극적 사고에 대한 국가 차원의 애도 역시 필요하다. 다만 그것이 모든 일상을 멈추라는 뜻은 아닐 것이다. 희생자를 애도하면서도 누군가는 생계를 위해 춤을 추고 노래할 수 있고, 누군가는 불꽃을 쏴야 할 수 있다. 그것이 사회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국가 애도 기간이라는 이름 아래서 모두가 숨죽였다. 국내 많은 기업이 시무식은 물론 성금 기부, 어려운 소상공인의 물품을 구매하는 행사까지 취소했다. 이런 모습이 외국인 눈에는 낯설게 비쳤을 것이다. 서울시는 이번 ‘초강경’ 조치에 대해 “불똥이 서울시로 튈까 봐 그랬다”는 비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