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수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재발부된 가운데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차벽을 세우기 위해 동원된 버스 차량 옆으로 경호처 등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12·3 비상계엄’을 수사하는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당시 이를 저지한 경호처 직원들을 대상으로 추가 피의자 입건을 위한 절차에 나섰다.

9일 경찰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의 채증자료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체포를 저지한 경호처 직원 26명에 대한 신원 확인 요청 공문을 경호처로 지난 8일 발송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체포 당시 불법행위 가담 정도 및 향후 불법행위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건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또 채증자료 판독 결과에 따라 추가로 신원확인을 할 계획이다. 경찰은 “공무집행 방해 정황이 있는 사람들 위주로 1차 선별해 공문을 보낸 것”이라고 했다.

경찰이 경호처 수뇌부에 대한 압박은 물론 및 현장 직원들까지 압박을 가해 2차 영장 시도를 위한 포석을 깔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경찰은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된 박종준 경호처장에게 10일 오전 10시까지 경찰에 출석하라는 3차 출석요구서를 발송한 바 있다. 3차 출석요구까지 불응할 경우, 경찰은 그간의 관례에 따라 체포영장을 신청해 박 처장의 신병을 확보할 전망이다.

이 밖에도 김성훈 경호처 차장,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 등 경호처 간부도 관저 진입을 방해한 혐의로 입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