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사회에서 공무원들이 순번을 정해 사비로 간부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간부 모시는 날’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행정안전부는 작년 11월 인사혁신처와 합동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 결과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공무원은 18.1%(중앙 10.1%, 지자체 23.9%)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태 조사는 공직 사회 내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는 문제 인식이 커짐에 따라, 객관적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중앙·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e사람’(중앙) 및 ‘인사랑’(지자체)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태 조사가 이뤄졌으며, 총 15만4317명(중앙 6만4968명, 지자체 8만9349명)이 참여했다.
전체 응답자 중 91%는 ‘간부 모시는 날’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고, 간부 모시는 날 근절을 위해서는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37.4%)’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간부 모시는 날’ 경험 빈도는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월 1~2회가 46.1%로 가장 많았고, 지자체의 경우 주 1~2회가 45.9%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부의 직급은 부서장(과장급)이 57.0%로 가장 많았고,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으로는 ‘기존부터 지속되던 관행이기 때문(37.8%)’을 지적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인사혁신처·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중앙·지자체 조직문화 담당 부서를 대상으로 ‘간부 모시는 날’ 근절 관련 대책회의(영상)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또한, 간부 모시는 날을 신속하게 근절하기 위해 우선 기관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인식 개선을 추진하고, 계도 기간을 거쳐서 추후 다시 실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황명석 정부혁신국장은 “이번 실태 조사로 ‘간부 모시는 날’이 아직도 일부 조직에서 관행처럼 남아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관계 기관과 함께 현시점에 맞지 않는 잘못된 관행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