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변론을 앞둔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 경찰 버스로 경계가 강화돼 있다./박성원 기자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종 변론이 진행되고 선고 기일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경찰이 사법 기관에 대한 난동 등이 재발하지 않도록 각종 경비책을 총동원하고 있다.

2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서부지법 난동 이후 경비 대책’ 자료에 따르면 경찰은 주요 국가기관 경비 강화, 주요 인사 신변 보호, 집회 대비 등 대책을 세우고 있다.

경찰은 주요 국가 기관에 대한 경비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달 19일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소식이 알려지고 예상치 못한 난동이 발생했던 만큼, 헌법재판소 및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사법기관에 24시간 기동대를 배치한다.

개별 법관에 대한 신변 보호 조치도 진행한다. 경찰은 헌법재판관 전원 8명에 전담 경호팀을 배치하는 한편 112 연계 순찰 등 자택 안전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헌법재판소 주변에 기동대와 장비 등을 추가 배치해 과격‧폭력 행위 등 우발 상황에 대비한다.

난동이 발생할 경우 집회 참가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비 및 보호 장비도 선제 착용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이격 장비인 접이식 안전 펜스, 차량형 안전 펜스, 이동형 안전 펜스, 경찰버스 등 안전 관리 장비를 총동원하는 한편, 방패 등 경찰장구와 신체보호복을 착용할 방침이다.

한편 2월 15일부터 3월 30일까지 헌법재판소에 총 67건의 집회 및 행진 신고가 접수됐다. 자유통일당, 촛불행동, 퇴진 비상행동, 북벌TV, 정치한잔, 천만인 운동본부, 민주노총 등 다양한 단체가 집회를 신고했다.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당일 서울 광화문과 헌법재판소가 있는 종로구 재동 일대에선 각각 탄핵 찬성,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대규모 집회가 벌어졌고 많은 인원이 밀집된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로 총 4명이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