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2029년까지 청년 유출을 막고 합계출산율을 1명대로 끌어올리는 인구정책 5개년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27일 “광주인구정책위를 열고 5개년(2025~2029년)의 인구정책 기본방향을 담은 ‘제2차 광주광역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종합계획을 토대로 2029년까지 약 11조 7056억원을 투입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광주시 인구는 140만8422명으로 이 중 청년(19~39세) 인구는 36만966명이다. 지난해 동안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유출 인구는 7962명으로 이 중 청년 인구는 6005명(75.4%)에 달한다.
광주시는 청년 인구 유출을 줄이고 낮은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5개년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종합계획 목표는 ‘청년인구 순유출 제로(ZERO), 합계출산율 1.0 회복‘이다. 청년 중심 교육·일자리 정책 강화,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기반한 인구 유입 경제 조성을 골자로 한다.
광주시는 종합계획 4대 정책 방향으로 ‘아이키움 안심사회 조성‘, ‘지속가능한 일자리로 인구 유입 경제 실현‘, ‘활력 있는 도시 공간‘, ‘미래 인구구조 적응력 제고’ 등을 설정하고 12대 추진전략, 29개 핵심과제, 139개 세부과제를 담았다.
광주시는 가정돌봄 강화를 위해 올해 출생아부터 1인당 50만원 ‘출생가정 축하 상생카드‘를 지원하고, 2022년 전국 최초로 시행한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대상자를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한다.
임신부 가사돌봄서비스, 영유아 발달 컨설팅, 공공심야 및 달빛어린이병원 운영 등 정책도 계속 추진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전국 최초로 1인 여성 자영업자를 위해 3개월 동안 100만원씩 지급하는 임신·출산 대체인력비 지원사업도 시행한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일하며 머물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인공지능(AI) 집적단지 2단계 사업인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100만평 미래차국가산단, 광주 의료특화 산업단지 조성 등을 추진한다. 또 호남권 최대 규모인 ‘광주역 창업밸리‘를 청년 창업 발굴 거점으로 육성하고 도시 경쟁력을 확보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거, 일자리, 도시매력도 등 다각적인 전략이 필요한데 이 중 일자리가 핵심”이라며 “산업은 지키고 창업은 늘리고 보건서비스 영역의 질을 높여 사람과 기업이 모이고, 살기 좋은 광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