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인정보위원회 출입기자단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7일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다 국내 서비스가 중단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와 관련해 “딥시크로부터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자 노력하겠다는 긍정적 메시지가 왔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 서비스 차단이 언제 해제될지를 대해서는 “구체적인 타임라인은 없다. 실무자 간에 얘기하고 있고, 양쪽 다 이 정도면 됐다고 할 필요가 있는데 그게(서비스 차단 해제가) 언제인지는 아직 모른다”고 말했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지난 1월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등으로 논란을 빚자 딥시크 본사에 해당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 과정에서의 데이터 수집·처리 방식 등에 관한 공식 질의를 보냈다. 개인정보 처리 주체, 수집 항목·목적, 수집 이용 및 저장방식, 공유 여부 등을 물었다.

이어 딥시크에 서비스 잠정 중단을 권고했고, 지난달 15일부터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앱 마켓에서 딥시크 앱의 신규 다운로드를 제한했다. 같은 달달 개인정보위는 딥시크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다른 중국기업(바이트댄스)에 동의없이 넘긴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고 위원장은 “그로부터 약 10일 후에 (딥시크가) 국내 대리인을 지정해 소통했고, ‘한국을 무시하려고 했던 건 아니고 급하게 글로벌 서비스 출시하며 미비한 게 있었다’는 설명이 있었다”고 딥시크와 그간 소통 과정을 전했다.

다만 고 위원장은 딥시크가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에 이용자 관련 데이터를 넘겼다는 개인정보위 발표 이후 어떤 이유로, 무슨 데이터가 넘어갔는지를 묻자 “조사 단계라 구체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 답했다.

국내에 서비스를 차단한 이후에도 여전히 신규 설치는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에는 “앞서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내린 것은 딥시크에서 내린 것이지, 개인정보위가 공식적인 무슨 처분을 조치한 게 아니다”고 언급했다.

딥시크 말고도 또 다른 중국의 온라인 서비스가 국내에 진출할 경우 대응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엔 “개인정보위가 독자적으로 정책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게 아니라서 관련 부처와 함께 고민을 공유하는 상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