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발표한 1일 헌재 인근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의 출입구를 경찰들이 통제하고 있다. 안국역은 선고 당일인 오는 4일 첫 차부터 역 전체를 폐쇄한 뒤 무정차 운행할 예정이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지정된 4일 헌법재판소 인근 지하철역과 주유소와 공사장은 통제되고 근처 학교는 일제 휴교한다. 경찰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당일 헌법재판소 반경 100m 이내를 차벽으로 둘러싸 접근이 불가능한 ‘진공 상태’로 만들겠다며 국회의원들도 예외가 없다고 예고했었다.

1일 경찰에 따르면,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일에는 헌재 인근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첫차부터 역을 폐쇄하고 무정차 통과하기로 했다. 1일 오후에도 안국역 6개 출구 중 4개가 통제된 상태다. 서울교통공사는 경찰과 협의해 인근 광화문역과 경복궁역, 종로3가역, 종각역, 시청역, 대통령 관저 인근 한강진역도 역장 판단에 따라 무정차 통과시키기로 했다.

차로 교통 통제도 강화된다. 서울경찰청은 1일 오후 1시부터 24시간 상황 관리 체제에 돌입하고 헌재 앞 계동교차로 일대 율곡로를 전면 통제하기 시작했다. 집회 인원이 증가할 경우에는 사직로, 세종대로 등으로도 통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헌재 인근 경복궁, 덕수궁, 창덕궁, 국립고궁박물관은 선고 당일 문을 닫는다. 우발 상황을 대비해 문화재 보호 공무원 15명도 배치키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대규모 집회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탄핵 심판 선고 당일 인근 유치원·초·중·고교·특수학교 등 11개 학교의 휴교를 결정했다.

서울시는 선고 당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핵 심판 선고일 전후 사흘간 광화문·안국역·여의도 등에 인파 관리 인력으로만 하루 최대 1350명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의사·간호사 등 의료진 70명은 현장 의료소 4곳을 차린다. 서울시는 사람이 많아져 통신이 마비될 가능성을 고려해 이동통신 3사에 이동 기지국 증설도 요청했다.

선고 당일에는 경찰력도 대거 투입된다. 경찰청은 오는 3일 오전 9시부터 본청과 서울청에 을호비상을, 다른 지역 경찰청에는 병호비상을 내리고 선고 당일인 4일 오전 0시부터는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한다.

탄핵 심판 선고일에는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2만명이 투입된다. 이 중 기동대 210개 부대 소속 1만4000명이 서울에 집중 배치된다. 소방 차량 34대와 소방 인력 245명도 현장에 투입되고, 헌재 주변엔 경찰특공대도 대기한다. 1일 오후 헌재 인근에는 경찰 기동대 50개 부대 약 3200명이 배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폭력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헌재 인근 주유소와 공사장 가동도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경찰은 선고 당일 시위대끼리 맞붙는 상황을 막기 위해 차벽 등을 세워, 안국역을 기준으로 서쪽에는 탄핵 찬성 측, 남쪽에는 탄핵 반대 측 시위대로 구역을 나눌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