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공고 살펴보는 구직자들./연합뉴스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관련 국가기술자격 응시자가 최근 5년간 연평균 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격 취득 이후 50·60세대의 취업률도 젊은 세대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3일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식목일을 맞아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6개 종목’ 국가 자격에 대한 응시 및 취득 현황을 발표했다. 산림기술사, 산림기사, 산림산업기사, 산림기능사 등 4개 자격과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등 2개 자격이다.

산림 및 식물보호 최근 5년간 응시 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은 5.4%로 나타났다. 취득 인원 역시 연평균 6.2% 늘었다. 가장 증가율이 높은 자격은 식물보호 산업기사로 응시 인원 기준 연평균 11.4%가 증가했다. 취득자 기준으로는 산림기능사가 연평균 9.9%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산림보호법 개정으로 ‘나무병원 및 나무의사 제도’가 도입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이 제도에 따라 나무의사가 아니면 수목 진료 행위를 할 수 없게 됐다.

2023년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취득자의 55.9%는 ’5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식물보호기사를 제외한 모든 등급에서 50대 이상이 가장 많이 취득했다. 응시 당시 경제활동 상태 또한 재직자(임금근로자)가 많았다. 응시 목적은 취업(43%), 자기 개발(25.8%) 순으로 높았다.

50대 이상 취득자의 취업률 또한 높게 나타났다. 2023년 취득자의 2024년 기준(7월, 고용보험 기준) 취업률을 살펴보면 50대 취득자의 취업률은 48%, 60대 이상은 69.6%로 40대 이하보다 취업률이 되레 더 높았다.

공단은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자격은 50대 이상의 재직 중인 근로자가 퇴직 후 재취업을 목적으로 많이 취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