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남성은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미혼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다는 이유로 결혼을 망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0월 전국 20∼44세 2000명(기혼·미혼 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의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결혼 의향이 없는 남성들은 그 이유로 ‘결혼 생활 비용 부담’(25.4%)을 가장 많이 답했다. 이어 ‘독신 생활이 좋음’(19.3%), ‘결혼보다는 일 우선’(12.9%),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12.1%), ‘소득 부족’(10.4%)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19.5%)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독신 생활이 좋음’(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 ‘가부장적 가족 문화·관계가 싫음’(12.3%), ‘결혼 생활 비용 부담’(11.6%) 순이었다.
남성은 여성보다 결혼 비용 부담이나 소득 부족을 꼽은 응답률이 각각 13.8%p, 7.2%p 더 높았다. 여성은 남성보다 가부장 문화나 커리어를 더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남녀는 결혼 조건에서도 인식 차이를 보였다. 협회는 ‘결혼 상대방에게 희망하는 조건’과 ‘결혼을 위해 스스로 갖춰야 할 조건’에 관해 물었다.
그 결과 미혼 남성의 97.3%는 여성이 갖춰야 할 결혼 조건으로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여성은 86.6%만이 자신의 육아·가사 참여가 결혼 조건이라고 답했다.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보다 여성이 6.5%p 더 많이 하고 있었다.
협회는 “미혼 남녀 사이에 전통적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이 혼재돼 있다”며 “그와 동시에 맞벌이와 공동 육아 참여를 원하는 ‘공동 생계부양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