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한 영어유치원에 주차된 통학버스./연합뉴스

유명 영어 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해 치르는 시험 이른바 ‘4세 고시’가 성행할 정도로 영유아 사교육이 과열된 가운데,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아이의 언어 능력과 학업 수행 등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15일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사교육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의 실증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김 위원이 연구책임을 맡은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비용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교육 경험은 단기적으로 언어능력이나 어휘력과 상관이 없고 영향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 능력과도 별 상관성이 없었으며, 초등학교 진학 시 학업 수행 능력에도 별 효과를 내지 못했다.

다만 예술 사교육에 참여한 아동은 예방책 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교육 경험은 성실성, 자존감,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 자아 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 사회 정서적 측면에서는 사교육의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아동의 지능지수와 가구 소득, 부모 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했음에도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미미했다”며 “이는 사교육 효과가 과대 평가됐을 가능성과 함께 아동 발달에 사교육 외 다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율이 높아지는 추세지만 영유아기 사교육 참여는 단기적·중장기적으로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양육·교육 방법 등에 관하여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제작·송출 등으로 영유아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