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일대에서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유명 학원에 다니기 위해 치르는 ‘7세 고시(高試)’를 아동 학대로 규정해달라는 진정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접수됐다.

지난 3월 1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 의대 준비반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국민 1000명으로 구성된 ‘아동 학대 7세 고시 국민 고발단’은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세 고시 폐지 및 아동 학대 규정을 촉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유명 영어학원 입학을 위한 시험을 준비한다는 이유로 만 6세 아이들이 영어 문장을 외우고 인터뷰를 준비한다”며 “인권위가 이를 아동 학대 이상의 심각한 범죄 행위로 규정하고, 교육 당국이 강력히 제재해달라”고 했다.

이 밖에도 “불필요한 경쟁과 극단적인 선행 학습을 조장해 아동 발달을 해치고 있다”며 교육 당국에 법과 제도 정비를 요구했다. 이날 인권위 진정 접수는 기자회견에 참석한 초등학교 4학년 정세연(10)양이 했다. 정양은 “친구들 가방 안에는 교과서가 아닌 학원 숙제 책만 가득하다”며 “친구들을 학원에서 구출해달라”고 말했다.

최근 몇 년 사이 학부모와 학원가에서는 ‘7세 고시’라는 말이 유행 중이다. 초등학교에도 입학하지 않은 아동들이 유명 학원에 들어가기 위한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 일정 수준을 넘기지 못하면 학원 수업을 들을 수 없다. 유명 학원에서 사교육을 시작, 명문초→초등 의대반→영재 입시반으로 입시 코스는 이어진다.

이에 대해 외신에서도 학원(hagwon)을 한국어 발음대로 소개하며 한국의 사교육 열풍을 조명했다. 교육부가 지난 3월 발표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1000억원(7.7%)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