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 곳곳에서 싱크홀(땅꺼짐)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시가 지하철 건설 공사 현장 등에 지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기로 했다. 대규모 지하 공사를 할 때는 사업비에 지반 검사 비용 등을 반영해 발주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 공사 현장을 찾아 이 같은 내용의 ‘지하 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했다.
앞으로 서울시가 발주하는 건설 사업의 경우 지반 조사 등 안전 관리 비용을 사업비에 반영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공사가 비용을 아끼기 위해 안전 관리비를 깎지 못하도록 구체적으로 사업비를 정하고 관리·감독하겠다”고 말했다.
대형 지하 공사 현장에는 지반과 토질 등의 정보를 담은 지도도 만든다.
첨단 기술도 적극 활용한다. 지하 공사장 곳곳에 지반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해 ‘지반 침하 관측망’을 구축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 20m 지점까지 지반 상태를 관측할 수 있는 신기술”이라며 “강동구 지하철 9호선 공사 현장에 우선 설치해 효과를 분석한 뒤 다른 공사장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땅속에 레이더를 쏴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는 GPR(지표 투과 레이더) 탐사 장비의 경우 탐지 깊이가 2m 안팎에 불과해 새로 도입하는 것이다.
낡은 하수관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예산을 연간 2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늘린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러면 매년 하수관 200㎞를 정비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30여 명 규모의 전담 부서도 신설한다. 이름은 ‘지하안전과’다.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 전문가도 채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