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대구시청 동인청사 기자실에서 열린 '대구 군부대 최종 이전지 평가결과 발표' 설명회에서 윤영대 대구시 군사시설이전특보가 군위군 선정 결과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뉴스1

대구 도심 5개 군부대 통합 이전지로 군위군이 최종 선정됐다.

대구시는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전 대상 군부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1.27㎢), 제50사단사령부(2.99㎢), 제5군수지원사령부(0.75㎢),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0.64㎢) 등 5개다.

앞서 지난 1월 국방부가 임무수행 가능성과 정주 환경을 평가해 대구 군위군, 경북 상주시와 영천시 3개 시군을 이전 예비 후보지로 선정해 대구시에 통보했다. 이후 대구시는 최종 이전지 선정을 위해 전문 연구 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에 사업성과 수용성 평가를 위탁했다.

이에 대구정책연구원은 지난달 4일 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평가 계획 사전 설명회를 가진 뒤 해당 시군에서 평가 자료를 접수받아 검증을 진행했다. 그 결과, 군위군이 100점 만점에 95.03점을 받아 최종 선정됐다. 경북 영천시와 상주시는 각각 82.45점과 81.24점을 받았다.

대구 군위군청 전경./뉴스1

최종 후보지가 선정됨에 따라 대구시는 국방부와 함께 이전 지역에 조성될 미래 통합 군 주둔지 개념을 구체화하는 ‘마스터플랜’과 ‘시설기본계획’을 작성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시는 올해 안에 합의각서안을 마련해 국방부로 제출하면 국방부 검토와 기재부 심의 및 승인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는 합의각서를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합의각서가 체결된 후에는 설계와 시공 과정을 거쳐 당초 목표한 대로 2030년까지 이전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사업은 사업자가 이전할 지역에 군부대를 조성해 군에 기부하고, 그 대가로 기존 주둔지를 양도받아 개발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탓에 사업성이 떨어져 개발자가 나서지 않을 경우 이전 사업 자체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