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제주 곳곳에 가로수로 심어져 ‘남국의 관광지’를 상징했던 야자수가 퇴출 운명에 놓였다.
제주시는 제주시 탑동 이마트에서 제주항 임항로까지 1.2㎞ 구간에 심은 ‘워싱턴야자수’ 117그루를 뽑고, 이팝나무 등으로 교체하는 가로수 수종 갱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 일대 야자수를 제거하는 작업은 4월 초 마무리될 예정이다.
제주시는 2021년부터 제주시내 야자수를 이팝나무와 수국, 먼나무 등 다른 나무로 대체하고 있다. 이번 작업이 끝나면 제주시 내 20개 구간의 야자수 총 1325그루 중 절반쯤이 다른 나무로 대체된다.
제주에서 야자수는 1982년쯤부터 가로수로 식재됐다. 하지만 야자수가 생장 속도가 빠르고 다 자라면 아파트 층 이상 높이인 15∼27m에 달해 안전사고 우려를 낳고 있다.
탑동 야자수의 경우 가로수 화단이 노후된 데다 화단에 비해 워싱턴야자수 키가 커 강풍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태풍이 불 때면 야자수가 부러지거나 뽑혀 쓰러지고, 날카로운 가시가 달린 잎이나 꽃대가 떨어져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했다. 또 키 큰 야자수가 전선과 접촉해 정전 사고를 일으키기도 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현재 식재된 야자수는 태풍과 강풍 등으로 안전사고는 물론 매년 고가 사다리차를 동원해 가지치기를 해야 하는 등 도심 가로수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전문가 의견에 따라 수종을 교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제주도 내 전체 가로수 12만2924그루 가운데 야자수는 3334그루, 약 2.7%에 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