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구간 9공구 천용천교 건설 현장에서 교각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발생해 4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김지호 기자

25일 오전 경기 안성의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다리의 상판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났다. 당시 다리 위에서 일하고 있던 작업자 10명이 일순간 약 52m높이에서 바닥으로 추락해 매몰됐다. 이 사고로 오후 3시 기준 4명이 숨지고, 나머지 5명은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다. 1명은 경상으로 분류됐다. 부상자 모두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상자들은 모두 남성이며, 나이대는 40대 후반~60대 중반이다. 국적은 한국인 7명, 중국인 3명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는 이날 오전 9시 49분쯤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용인 구간 연결 교량(청룡천교) 공사 작업 중 발생했다. 당시 교각(다리 기둥) 위에 올려져 있는 철 구조물(빔) 4~5개가 브이(V)자로 휘면서 일시에 땅바닥으로 무너져 내렸다.

소방 관계자는 “크레인으로 들어서 얹는 방식이 아니라, 런처라는 장비로 공사 교각 상판에 철제 빔을 올려두는 작업 중 사고가 났다”고 했다.

소방청은 오전 10시 3분에 소방대응 2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10시 15분 대형재난이 발생할 때 전국의 소방력을 현장에 동원해 운용하는 ‘국가 소방동원령’을 내렸다.

25일 오전 9시 49분쯤 경기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연결공사 교량 작업 중 교량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독자 제공.

사고가 발생한 곳은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중 충남 천안과 경기 안성의 경계쯤 있는 청룡천교 건설 현장이다. 교각의 높이는 구간별로 다르지만, 최고 52m이며, 상판이 떨어진 구간 거리는 약 210m로 파악됐다.

그래픽=백형선

사고 당시 상황이 담긴 영상 등을 보면, 교량 상판에서 뿌연 연기가 나면서 상판 가운데 부분이 V자 모양으로 휘어지더니 순간 폭삭 무너져내린다. 상판이 바닥으로 곤두박질 치는 데는 약 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사고를 현장 인근 주민들은 “폭탄이 터지는 것처럼 ‘꽝’하는 굉음과 함께 집이 무너질 정도로 흔들렸다”고 했다.

당시 다리 상판 위에서는 작업자 10명이 ‘빔 런처(Launcher)’ 장비로 철제 빔을 거치하는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거더(girder·건설 구조물을 떠 받치는 보) 런칭 공법으로 불리는 이 방식은 크레인으로 상판에 빔을 올리는 일반적인 작업과 달리, 런처를 통해 가로로 빔 등 교각 상판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이 공법은 교량 하부조건에 영향을 받지않고 공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통 크레인 진입이 어려운 곳에 주로 적용한다. 세종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상행선 구간은 이미 설치가 돼있었고, 하행선에 상판을 설치하기 위해 런처를 옮기는 작업 중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런처와 작업자들은 함께 바닥으로 추락해 잔해에 매몰됐다.

그래픽=백형선

전문가들은 “임시로 고정한 거더가 갑자기 불안정해지면서 발생한 사고”라고 했다. 유동호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장은 “영상을 보면 붕괴 직전에 빔이 꺾이는 게 보이는데, 갑자기 하중을 받았다는 뜻”이라며 “빔 런처가 이동하면서 빔을 건드려 갑자기 하중이 쏠리면서 꺾였을 수 있다”고 했다. 유 회장은 “콘크리트 타설 전 빔끼리 철근으로 엮어두거나 인부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발판을 걸쳐두기도 하는데, 하나가 무너지면 도미노처럼 다같이 무처질 수 있다”고도 했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원인은 불안전한 거더”라며 “밑에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거더가 넘어지지 않도록 전도 방지 조치를 했어야 했는데, 미흡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사진을 보면 거더와 거더가 철근으로 연결돼있는데, 결국 넘어지는 힘을 견디지 못한 거 같다”고 했다.

조원철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런처가 무너져 내린 건 힘의 불균형이 생겼다는 것인데, 설치가 제대로 안 됐거나, 바람이 불면서 균형이 깨졌을 수 있다”고 했다.

25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구간 9공구 천용천교 건설 현장에서 교각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발생해 4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김지호 기자

업계에서는 런처 장비 이동 중 조종사와 작업자 간 수신호가 맞지 않는 등 방심하면서 발생했을 수도 있다는 말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하중 같은 기술적인 검토가 제대로 안 됐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도 했다.

과거 이와 비슷한 사고로는 1992년 7월 발생한 신행주대교 붕괴 사고가 있다. 상판 연결공사 중에 다리가 무너져 내렸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 이후 하중 검토가 미비했던 게 사고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

1991년 3월 팔당대교 붕괴 사고도 이번 사고와 비슷하다. 철제 빔이 강풍에 흔들리면서 균형 잃고 무너져 내리면서 다리 아래에서 일하고 있던 인부 1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이후 부실 시공이 사고 원인이었던 게 드러났다.

해당 구간은 현대엔지니어링(50%), 호반산업(30%), 범양건영(20%) 컨소시엄이 공사를 진행 중이고 현대엔지니어링이 주관사를 맡고 있다. 하도급사는 장헌산업이다. 감리는 한국도로공사가 맡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작년 4월 전남 무안군 ‘힐스테이트 오룡’ 아파트 사전점검에서 무더기 하자가 발생해, 대국민 사과를 한 지 약 10개월 만에 또 대형 사고를 낸 셈이 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같은 해 10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하자 판정 건설사 순위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날 현대엔지니어링은 “조속한 현장 수습과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관계기관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당사 시공 현장의 인명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고, 부상을 입은 분들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했다.

고용노동부는 사고 발생 직후 작업 중지를 명령하고, 사고 원인 조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사고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형사기동대를 중심으로 78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편성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