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2026년 서울 여의도에서 크루즈를 타고 외국 여행을 떠나는 것이 가능해진다.

14일 서울시는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서울항’을 조성하는 내용의 ‘세계로 향하는 서해뱃길’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해뱃길은 서울에서 한강을 따라 서해로 이어지는 물길이다. 서울시는 이 물길을 통해 한강부터 서해를 거쳐 동북아까지 배가 오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서울항 개념도 /서울시

이 사업은 2010년 오세훈 시장 재선 당시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다가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하면서 무산됐다.

서울시는 이미 유람선을 시범 운항하고 있다. 지난 9월 1000t급 선박이 오갈 수 있도록 한강 갑문 인근 수역의 수심을 3.5m로 확보했다. 민간 선박회사에서 임시 운항허가를 받아 한강~경인아라뱃길 구간을 1000t급 유람선이 시범 운항하는 중이다. 지난달 8일 여의도에서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렸을 때도 유람선이 운항했다.

현재 시범 운항 중인 유람선 선박 길이는 66m인데 여의도 선착장 길이는 65m여서 배가 정박하지 못하고 회항하는 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에 유람선이 여의도 선착장에 정박할 수 있도록 여의도 선착장을 95m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90m 이상의 선착장이 확보되면 유람선이 정박할 수 있어 서해와 인천에서 뱃길을 통해 여의도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며 “서울시민도 여의도를 통해 서해안 관광을 떠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최종적으로 2026년까지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 ‘서울항’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항이 조성되면 여수, 제주도 등 국내선부터 운행을 하고, 이후 세관검사, 출입국관리, 검역 기능을 추가해 중국 등 동북아 다른 국가와도 연결하는 국제항으로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여기에 터미널 기능 외에도 민간자본을 활용한 국제회의장, 수상호텔, 노을전망대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은 “‘세계로 향하는 서해뱃길’ 사업은 ‘3000만 관광도시 서울’을 견인하는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것”이라며 “코로나 이후 새로운 여가생활에 관한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에 서울시민을 비롯한 국내외 관광객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