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발생한 빈대의 44%가 고시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고시원, 쪽방촌 등 주거취약시설을 중점적으로 관리한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시에서는 빈대가 89건 발생했다. 이중 고시원에서 39건이 발생해 44%를 차지했다.
서울시는 자치구마다 고시원 빈대 관리 전담 인력을 지정하기로 했다. 이들은 서울시 내의 고시원 4852곳을 직접 방문해 빈대 발생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전담 인력들은 고시원별로 방 1~2개를 표본조사한다. 빈대 서식 가능성이 높은 침대, 매트리스 등에 빈대 배설물이나 탈피 흔적이 있는지 살핀다. 빈대 발생이 의심되면 시설 전체를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빈대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고시원 관리자에게 빈대 발생 예방 행동수칙을 교육한다. 발생 즉시 서울시 발생신고센터와 보건소, 120다산콜에 신고하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쪽방촌도 빈대 발생 전수조사에 나선다.
지난달 21일 기준 서울시 쪽방촌 발생 건수는 3건이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 특성상 빈대 발생시 확산이 쉬워 조기 대응을 하는 것이다.
5개 시립 쪽방상담소는 빈대 조기 발견을 위해 모든 쪽방에 자율 점검표를 배포해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 각 자치구는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는 쪽방촌, 고시원 등 주거취약시설의 빈대 방제 지원을 위해 지난달 10일 5억원을 긴급 교부했다. 특별교부세 2억원을 추가 교부할 예정이다.
쪽방·고시원에 빈대 발생이 확인되면 보건소나 민간 전문업체를 통해 최대 3회, 총 300만원까지 방제비를 지원한다. 방제 이후로도 10일 간격으로 2회 추가 점검을 실시해 빈대가 박멸됐는지 확인한다.
빈대 발생시설은 관리자가 원할 경우 관할 보건소에 비치된 진공청소기 등 빈대 방제물품을 일시적으로 대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