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교통방송) 민영화와 관련해 “인수에 대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물어오는 복수의 언론사들이 있다”고 했다.
22일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23회 임시회 시정질문에 참석한 오세훈 시장은 유정희 시의원의 TBS 관련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오 시장은 “TBS 지원을 폐지하거나 방송국을 폐국하는 생각을 해본적도 없었다”며 “작년 11월 TBS가 자구책으로 민영화를 결정하고 절차에 착수하는 모습을 보면서 최소한 이란 작업 정도는 도와주는 게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여러 언론사들, 특히 라디오 방송국이 없는 언론사에게 ‘TBS가 주파수를 팔려고 하니까 사는 건 어떠냐’는 제안을 했다”면서 “내가 말을 하고 나니까 그 진의나 과정, 인수에 대해서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물어오는 언론사들도 있었고, 현재도 있다”고 했다.
다만 오 시장은 “대부분 인수를 원하는 곳들은 인수를 한 다음에 여러 가지 투자 대비 효율이 높은 형태의 인수를 바랄 것”이라며 “사법적인 생각도 하고, 조직을 추스려서 가장 바람직한 방향으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빠른 속도로 진도는 안 나가는데, 한 마디로 하면 (TBS 인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비용 편익 분석을 하는 복수의 언론사가 있다”고 했다.
오 시장은 5월 31일로 예정된 TBS의 서울시 지원 중단과 관련해 “TBS가 민영화를 결정하고 삼정KPMG를 통해 투자자를 발굴과 원매자 물색을 하고 있다”면서 “그러한 TBS의 움직임과 궤를 맞춰서 내 나름대로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한편, 서울시의 TBS 지원 조례는 오는 6월 폐지된다. TBS 전체 예산의 70%를 차지하는 서울시 출연금 지원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에 TBS는 작년 11월 말 자구책으로 민영화를 결정하고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