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구 TBS 대표대행이 8일 오전 서울 중구 성공회빌딩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TBS가 김어준이 만든 불행한 유산에 고생을 하고 있다”며 “정치적 편향성 문제를 일으킨 분들은 밖에 나가서 국회의원이 되기도 하고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 분들이 우리를 돕는데 사재를 털어서라도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TBS는 지난 6월 지원 조례 폐지에 따라 서울시의 예산 지원이 중단됐다. 그동안 TBS는 연 400억 원의 예산 중 70% 이상을 서울시의 출연금에 의존해왔다. 현재 출연기관 해제절차가 진행 중이다. 작년부터 희망퇴직 등으로 직원 수가 360명에서 250명으로 줄었다. 추가 인력 감축 계획은 없다고 한다.
이 대행은 “현재 ‘뉴스공장’ 브랜드를 개인 유튜브에서 사용하고 있는 김어준에 대해 상표권 소송을 진행 중”이라며 “추가로 범법 사항이 없는지 폭 넓게 살펴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TBS 민영화와 관련해 이 대행은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진전된 곳은 없다”며 “현재 TBS는 상업광고가 금지돼있고 지상파방송 재허가 문제가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행은 “TBS가 상업광고를 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할 계획”이라며 “그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도록 서울시와 시의회가 20억을 지원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7일 TBS는 이같은 내용의 공문을 서울시의회에 보내기도 했다.
강양구 TBS 경영지원본부장은 “현재 보유한 자금이 10억원 가량이고 8월 월급을 주고 나면 잔고가 없어진다”며 “기적 같은 일이 생기지 않으면 폐업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는 게 객관적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행은 TBS 운영 재원 마련을 위해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을 맺어 수익을 다각화하고, 인력 운영을 최소화해 예산을 절감하는 등의 자구안도 함께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