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발생한 부산 사상∼하단 도시철도 2공구 구간 2곳의 대형 땅꺼짐(싱크홀)이 시공사와 감리단의 차수벽 관련 부실시공, 공사 발주기관인 부산교통공사의 소홀한 관리·감독 등에서 비롯됐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잇따라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대형 땅 꺼짐 관련 특정 감사를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진행한 결과, 공사 과정에서 품질·안전·시공 관리에 과실이 있었고 규정 위반 사항도 다수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시 감사위가 이날 발표한 특정감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1일 사상구 새벽로에서 발생한 2곳의 대형 땅꺼짐(가로 4m·세로 8m·깊이 5m, 가로 5m·세로 7m·깊이 5m)은 379㎜에 달하는 집중호우와 부실한 물막이(차수) 공사, 시공관리 소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다.
이 땅꺼짐은 당시 굴착 작업을 위해 공사 구간 빗물 관로를 옆으로 옮기면서 연결관을 기존 관 굵기보다 작은 것으로 사용하고 이들 관의 접합도 튼튼히 하지 않아 집중호우에 연결 부위가 깨졌고 빗물이 대량 지하로 새나가 토사를 쓸어가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사위 측은 “또 시공사가 지하철이 다니는 구조물 좌우에 화학약제를 주입, 흙을 콘크리트처럼 굳히는 공법을 적용했는데 이 공법이 충분한 차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품질시험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공사를 진행한 것도 땅꺼짐 발생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땅꺼짐이 발생하기 전에도 현장 좌우의 차수벽에서 물이 계속 새 나와 공사가 중단된 적도 있었다고 감사위 측은 밝혔다. 윤희연 감사위원장은 “차수벽 누수 현상은 차수 공사를 부실하게 했다는 뜻”이라며 “차수벽 누수로 인한 공사 중단 사실을 안 부산교통공사도 시공사 측에 대책 수립과 실행을 지시만 했지 실제로 이행됐는지 확인을 하지 않는 등 관리 감독을 소홀히 했다”고 밝혔다.
또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 공사의 품질시험 성과 검토,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세부 안전관리계획 이행 등 시공 관리를 부실하게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위원회는 이에 따라 시정·주의 등 행정 조치 10건, 훈계 등 신분상 조치 10건, 과다계상된 공사비 11억5900만원 감액 조치 등을 하도록 부산교통공사에 요구했다. 또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감리단)에 대해선 벌점을 부과하라고 부산교통공사에 통보했다.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은 2호선 사상역에서 1호선 하단역까지 총연장 6.9㎞에 7개 정거장 규모로, 2026년 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당초 2023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연약지반과 누수 발생 등으로 인해 3년 늦춰졌다. 사업비는 8287억원이다. 현재 공정률은 70% 남짓이다.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주변에서 2023년 3차례, 2024년 8차례 땅꺼짐이 생겼고, 올들어 지금까지 3차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