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0년 동안 국내 온실가스 배출을 99% 줄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의 ‘탄소 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국내 온실가스 순(純) 배출량은 2018년 7억2760만t에서 2050년 750만t으로 줄어든다. 100분의 1 수준이다. “지금까지 나온 세계 각국의 탄소 감축 방안보다 강도와 속도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정부가 제시한 부문별 탄소 감축 계획에 그런 내용이 담겨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지난 5월 29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뉴시스

정부는 산업 부문에선 2018년 2억6050만t이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 4310만t으로 83.5% 줄인다는 계획이다. 수송 부문에선 도로 위 자동차 10대 중 7대 이상을 전기·수소차로 바꿔 탄소를 98% 감축한다고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전력 부문은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재편해 배출량을 2억6960만t에서 3120만t으로 88%가량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건물 부문의 경우 2030년부턴 500㎡ 이상 모든 신규 건축물이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는 건물 어딘가에 태양광·지열·연료 전지 패널을 달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런 방안을 총동원해도 2050년 한 해 탄소가 1억1660만t 배출될 것으로 전망됐다. 산림 등 이산화탄소 흡수원과 포집(捕執)·저장 기술로 1억910만t을 상쇄하겠다는 게 정부 계산이다. 상쇄량 가운데 8500만t은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이 맡는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대륙붕이나 심해(深海) 퇴적층에 영구적으로 가두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한반도 주변 해저 지층에 3000만t, 북한과 한·중·일 공동 수역 등에 3000만t을 저장하겠다”고 했다.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시나리오

◇상용화 수십 년… “현실성 의문”

정부 계획은 2050년까지 기술 혁신을 전제로 만든 것이다. 이 때문에 에너지 전문가들 사이에선 “섣불리 ‘희망 회로'를 돌리기엔 시기상조” “비현실적”이라는 말이 나온다. 탄소 중립 성패를 좌우할 CCUS는 아직 상용화가 안 된 데다, 막대한 설비 비용도 해결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의문이라는 것이다. CCUS로 흡수·재활용한다고 밝힌 8500만t은 어마어마한 규모다. 산림·습지 관리 등 국토 전체의 자연을 총동원해 흡수할 수 있는 양이 2410만t인데, 이보다 3배 넘는 탄소를 아직 확보되지 않은 기술로 잡아두겠다고 했다. 2050년 전력 생산 중 10%인 124TWh(테라와트시)를 맡을 수소가스 터빈과 암모니아 발전 등 신(新) 무탄소 전원도 업계에서는 상용화까지 최소 5~20년을 내다보고 있다.

◇2030 목표, 다음 정부 폭탄 되나

정부는 5년마다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제출하도록 규정한 파리협정에 따라 2017년 배출량(7억914만t) 대비 24.4%를 2030년까지 감축하겠다고 지난해 밝혔다. 올 11월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전에는 이보다 목표치를 더 올린 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와 관련, 2018년 배출량(7억2760만t) 대비 37.5% 감축안을 거론하고 있다. 여당 쪽에선 “2030년 NDC를 40~50%로 올리겠다”는 말이 나온다. 각국이 한번 제시한 목표는 나중에 여건이 변해도 다시 낮출 수 없도록 돼 있다.

현재 목표는 2030년까지 매년 1730만t씩 줄이는 것인데, 목표가 한꺼번에 상향 조정될 경우 이전 대비 연간 1000만~1100만t을 더 줄여야 한다. 제조업 비율이 높은 우리로선 산업계 등에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이라는 말이 나온다. 기후 문제 전문가인 정태용 연세대 교수는 “한국이 ‘기후 악당’ 오명을 쓴 건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는 약속을 번번이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국제적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목표를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