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호남권 가뭄에 대처하기 위해 4대강 보(洑)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3일 ‘광주·전남 가뭄 중장기 대책’을 발표하고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강 본류(本流) 16개 보를 물 그릇으로 최대한 활용해 가뭄에 도움이 되도록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 수위를 높여 본류와 지류(支流) 수심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하고, 이를 활용해 보 영향 구간에 있는 70개 취수·양수장과 71개 지하수 사용지에 생활·공업·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고 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전남 순천 주암조절지댐을 찾아 “방치된 4대강 보를 최대한 활용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문재인 정부가 해체 결정을 한 4대강 보를 가뭄에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다. 문 정부 시절인 재작년 1월 국가물관리위원회는 금강·영산강 5개 보에 대한 해체 및 상시개방 결정을 내렸고, 이들 보는 ‘취·양수 제한 수위’로만 운영하도록 했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 ‘보를 보답게 쓴다’는 정책을 세우고 가뭄 상황에 따라 보 수위를 조절해 왔다. 현재 충청권 금강 백제보가 가둔 물이 하루 11만5000t씩 도수로(導水路)를 통해 보령댐에 공급되고 있다. 호남권 영산강에선 승촌보·죽산보에 평소보다 많은 물을 모아두고 있고, 광주광역시 용연정수장에는 영산강 덕흥보에서 하루 3만t씩 물을 공급해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환경단체와 정치권 등에선 여전히 ‘4대강 사업과 물 공급은 무관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은 단순히 보만 설치한 것이 아니라 하천으로 흘러들던 오염원을 정리하는 등 하천 전반을 정리한 사업이다. 조원철 연세대 명예교수는 “영산강 덕흥보 물을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건 4대강 사업 때 나주 화학·비료 공장에서 나온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등 하천수를 깨끗하게 하는 작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환경부는 호남권 중장기 가뭄 대책을 ‘1단계 기본대책’과 ‘2단계 비상대책’으로 나눴다. 기본 대책에는 주암댐(일 48만t)과 장흥댐(일 10만t)을 도수로로 연계해 상황에 따라 물을 탄력적으로 활용하고, 주암댐-장흥댐 연계로 생긴 물 여유분을 여수산단에 공급하는 도수로를 설치하며, 광양산단에 물을 공급하는 수어댐 물이 부족하면 주암조절지댐으로부터 물길을 만들어 용수를 보내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또 하수 재이용, 해수 담수화 시설 건설, 상수관 개선으로 수돗물 누수 방지(연 4200만t) 등 대책도 들어갔다. ‘해수 담수화’ 시설은 중동 국가에서 주로 사용하지만 가뭄이 극심해지면서 우리도 도입하려는 것이다.
비상대책에는 댐 저수위(정상적으로 물을 길을 수 있는 하한선 수위) 아래의 ‘비상 용량’ 활용, 하천 상류의 농업용 저수지 물을 생활·공업용수로 이용, 섬 지역에 지하수 저류댐 확대 등이 제시됐다. 이런 대책으로 추가 확보되는 물은 하루 61만t 이상이라고 환경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