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출신의 땅콩버터들이 275g의 비좁은 진공팩에 몸을 욱여넣기 시작했다. 고소하지만 비장한 냄새를 풍기며. 총 50팩에 담긴 ‘짜 먹는’ 땅콩버터들은 지난해 미 항공우주국(NASA)의 스페이스X 팰컨9에 차곡차곡 몸을 포개 탑승했다. 목적지는 국제우주정거장(ISS). 이들에게 주어진 막중한 임무는 ‘6개월간 우주 비행사들의 건강을 책임지라.’

제조사는 NASA로부터 “땅콩버터가 우주 비행사들의 모험에 함께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영양사들과 협력해 제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간 땅콩에 용도에 따라 식용유(식물성 유지)나 설탕 등을 넣어 만드는 땅콩버터는 대표적 ‘고열량’ 식품이다. 탐험가나 산악인의 필수 준비물로 꼽히기도 한다.

서울 성수동에는 즉석에서 땅콩을 갈아 땅콩버터를 만들어주는 카페가 등장했다./업체 제공

그런데 땅콩버터가 최근 다이어트하는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먹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저걸 먹자”는 것이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라면 열량이 낮은 음식을 택해야 하는 게 아닐까. 대관절 어떻게 된 일인지, 실제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지, 혹 ‘세계땅콩버터연합회’ 같은 곳에서 꾸며낸 계략은 아닌지 확인해 봤다.

◇땅콩버터 고추장 진미채

32g에 190Kcal. 미국 내 땅콩버터 시장에서 1·2위를 다툰다는 한 브랜드의 땅콩버터 칼로리다. 티스푼으로 두 숟가락 정도다. 참고로 통상 공깃밥 반 공기가 150~160Kcal다. 이럴 거면 밥을 먹지, 왜 땅콩버터를 먹겠다는 걸까.

갑작스러운 땅콩버터의 유행은 일부 연예인으로부터 시작됐다. 가수 강민경은 유튜브 채널에 “다이어트 중 죄책감 없이 먹을 수 있다”며 콩물에 메밀면을 말고 땅콩버터를 넣어 먹는 모습을 공개했다. 올해 64세인 방송인 최화정은 땅콩버터를 곁들인 팬케이크 등을 ‘아침 식단’이라며 소개했고, 배우 한가인은 “아침 식사로 사과에 땅콩버터를 발라 먹는다”고 했다. 사과의 달고 신 맛과 땅콩버터의 고소함이 어울린다는 이유로 미국 등에서는 보편화한 조합.

대중은 “동안과 날씬함의 비결 아니냐”며 열광했다.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찐다”는 말이 퍼지기 시작했다. 서울 성수동에는 직원이 눈앞에서 직접 땅콩을 갈아주는 ‘땅콩버터 카페’가 등장했다. 지난해 온라인 쇼핑몰 마켓컬리에서는 땅콩버터 판매량이 전년 대비 약 다섯 배 늘었고, 소셜미디어에는 ‘땅콩버터 비빔면’ ‘땅콩버터 고구마빵’부터 ‘된장 땅콩버터 샐러드’ ‘땅콩버터 고추장 진미채볶음’ 레시피까지 등장했다! “맛있어서 많이 먹었는데 뱃살이 쏙 들어갔다”는 진위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구도 함께.

◇문제는 땅콩 함유량

땅콩버터의 진실은 뭘까. 전문가들은 땅콩 자체의 효능에 주목한다. “혈관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과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포만감이 오래 지속돼 식사량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땅콩도 콩이라 고기에는 없는 식이섬유까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구호품 중 하나인 ‘플럼피넛’ 역시 땅콩으로 만든 고열량 식품.

땅콩 함유량이 충분하다면 땅콩버터 역시 비슷한 효능을 낼 수 있다. 이 때문인지 1980년대 미국에서는 치아가 온전치 않은 노인들에게 고단백 식품으로 부드러운 땅콩버터가 권장되기도 했다. 다행히도 시중에 판매되는 땅콩버터 대부분의 땅콩 함유량은 90%를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그러나 구매 전 확인 필수).

지방산 등이 풍부하기 때문에 혈당지수(GI)가 낮은 식품인 것도 맞다. “아침 식사로 땅콩버터나 땅콩을 섭취하면 탄수화물이 많은 점심을 먹은 후에도 하루 종일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2012년 영국 영양학 저널에 발표되기도 했다. 연구에 따르면 “땅콩과 땅콩버터는 섭취 후 최대 12시간 동안 포만감을 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고.

◇흰 빵에 발라 먹지 말자

그렇다면 땅콩버터를 마구 때려 먹어도(?) 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포만감을 주는 건 맞지만 땅콩버터 자체가 워낙 고열량이라 다이어트 식품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미국 영양학회는 ‘티스푼으로 두 숟가락’을 땅콩버터의 하루 권장량으로 본다.

추가로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연예인들이 소개하는 땅콩버터는 대부분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순도 100%’의 땅콩버터라는 점, 그리고 우리가 쉽게 접하는 땅콩버터는 설탕·소금·식용유 등이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설탕이 많이 들어간 땅콩버터는 오히려 혈당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 팜유가 사용됐을 경우 트랜스지방이 포함돼 나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떤 음식과 먹느냐도 중요하다. 정제 탄수화물인 흰 식빵 등과 함께 먹다가는 혈당 상승 지름길. 가장 중요한 건 ‘적당량’ 섭취다. 참, 첨가물 없는 땅콩버터는 달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땅콩 비린내가 날 수도 있다. 역시 맛있고 달고 살 안 찌는 음식은, 세상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