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원스'의 리유저블 컵. 관객은 펍으로 설정된 무대에 올라가 와인이나 주스를 마시고 피아노와 거울 등을 촬영할 수 있다.

더블린 하면 그 화장실이 떠오른다. 10여 년 전 출장 갔다가 펍에서 기네스 맥주를 몇 잔 마시고 아일랜드 남자 서너 명과 소변기 앞에 서 있었다. 다들 불콰해진 채로. 바지 지퍼를 내린 한 남자가 노래를 배설하기 시작했다. 맙소사, 다들 따라 부르는 것 아닌가. 알아들을 순 없었지만 진취적인 합창. 볼일을 마친 그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흩어졌다. 낯선 사람들이 화장실에서 노래로 하나가 된 셈이다.

영화가 원작인 뮤지컬 ‘원스’를 보다가 그때 감정이 되살아났다. 무대는 더블린의 펍. 관객이 올라가 와인이나 주스를 마시고 피아노와 거울 등을 촬영할 수 있다. 구경꾼에 머물지 않고 이야기의 일부가 된 기분이랄까. ‘그’와 ‘그녀’로만 불리는 남녀 주인공에게 빠져들기 쉬운 구조다. 모든 걸 포기하려는 그를 향해 그녀가 객석 통로로 들어오며 조명이 꺼지고 어느새 공연이 시작된다.

/신시컴퍼니

아일랜드 청년인 그는 실패한 연애로 괴로워하며 진공청소기 수리공으로 일하고 있다. 거리에서 버스킹을 하던 그와 마주친 체코 출신 그녀는 “흡입이 안 된다”며 진공청소기를 고쳐달라고 부탁한다. 수리비는 음악으로 지불하겠다면서. 그는 기타, 그녀는 피아노를 연주하며 “너를 원해/ 널 모르지만/ 그래서 더욱~”으로 흘러가는 ‘폴링 슬로울리(Falling Slowly)’를 노래한다.

뮤지컬 ‘원스’에서 배우들은 오케스트라를 겸한다. 기타가 속도와 템포를 결정하며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드럼 등 모두 16개의 악기를 쓴다. 라이브 연주로 사건을 진행시키고 상처를 보듬고 용기를 북돋운다. 음악은 고장 난 진공청소기의 수리비로, 은행 대출을 받는 담보로, 마음이 드나드는 출입문으로, 다양한 쓸모를 증명한다.

뮤지컬 '원스'는 2012년 토니상에서 작품상 등 8부문을 차지했다.

이 뮤지컬은 ‘아일랜드 포크’로 모든 이야기를 들려준다. 음정과 박자는 술 한 잔 걸치고 부르는 노래처럼 자유롭다. 낡지도 새로워지지도 않는 정서를 뭉쳐 던진다. 같은 시·공간을 살아가는데 생각이 이토록 다를 수 있나, 싶다가도 어떤 노래 앞에서 사람들은 하나가 된다. 벽을 허무는 음악의 힘이다. 말로 할 수 없는 것 그렇다고 침묵할 수도 없는 것을 음악은 표현한다.

관계는 어긋나지만 화음은 완전해지는 결말. 제목은 왜 ‘원스(Once)’일까. 해석은 세 갈래다. “음반을 만들기만 한다면(once I make a record)” 같은 꿈이 하나, “옛날 옛적에(once upon a time)” 식의 동화 같은 이야기가 하나, “한번(once)의 키스” 같은 만남이 하나다. 보고 나서 며칠 동안 메아리처럼 재생되는 음악에 콧노래를 흥얼거렸다. “늦지 않았어/ 저 배를 타/ 내 손을 잡아~.” 5월 31일까지 코엑스 신한카드 아티움.

※ QR코드에 휴대폰을 갖다 대거나, 인터넷 주소창에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5743 을 넣으면 구독 창이 열립니다. ‘이메일 주소’와 ‘존함’을 적고 ‘구독하기’를 누르면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날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