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8%는 감염병 대응 주체로서 청와대와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감염병 대응 주체로서 정부(청와대·지방자치단체)를 신뢰하느냐는 질문에 52.4%는 신뢰한다고 답했다. 47.6%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20년 10월 60.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신뢰 주체별로는 ‘의료진’이 80.6%로 가장 높았고 ‘과학 전문가’ 77.2%가 뒤를 이었다.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 등 방역당국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63.3%였고, ‘나의 이웃과 주변 사람들’ 55.9%, ‘기타 대부분의 사람들’ 45.9% 순이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감염 확산에 따라 코로나 위험에 대한 사회 통제 가능성은 ‘통제 불가능하다’고 밝힌 답변이 63.4% 였으며, ‘통제 가능’은 36.6%였다. 통제 불가능하다는 응답의 비율은 동일 문항을 적용한 그동안 조사 중 최고치였다.

‘내가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27.8%로, 지난 2년 여간 조사 중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감염 시 그 결과는 심각하다’는 응답은 47.9%로 그간 조사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교수팀은 “델타보다 매우 높은 전파력과 그에 비해 낮은 중증·치명률 등 오미크론의 바이러스 특징이 주관적 위험판단에도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 정보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는 84.3%가 관심을 기울인다고 답했다. 그러나 정부와 방역당국의 코로나 정례브리핑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응답은 2020년 4월과 비교해 79.3%에서 35.6%로, 이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75.3%에서 37.6%로, 유익하다는 응답은 77.4%에서 32.8%로 각각 감소했다.

코로나 예방을 위한 거리두기와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낮아졌다. 모임을 취소하고 예정된 행사에 불참했다는 비율은 71.8%로 2021년 1월 조사 때인 87.2%보다 15.4%포인트 내려갔다. 다중이용시설을 자제했다는 비율도 76.4%로 나타나 같은 기간 8.4%포인트 떨어졌다. 외출을 자제한 비율도 66%로 14.1%포인트 낮아졌다.

이번 조사는 2월 25일부터 3월 2일까지 엿새간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