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지난 2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오미크론 정점이 지나기 전 방역 완화 조치를 시행해 확진자 급증을 초래했다는 비판에 대해 정부가 “결과론적 시각”이라고 반박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코로나 정례브리핑에서 “만약 지금까지 확진자 14일 격리, 사적모임 4인 및 밤 9시 영업제한 등을 유지했더라도, 방역을 완화하는 순간 결국 이번과 같은 전면적인 유행을 한번은 겪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2월부터 확진자 억제에서 위중증·사망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방역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했다”고 했다.

손 반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이 더 강하다”며 “델타 유행 당시처럼 확진자 억제 효과를 달성하려면 방역 조치를 그때보다 더 강화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유행을 억제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엄격한 확진자 억제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을 언급하며 “(억제) 방식이 사회·경제적 피해가 더 크고, 그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도 회의적”이라고 했다.

그는 “현재까지 중증화율과 치명률 등은 통제 가능한 범위”라며 “정점을 지난 후에도 적절하게 관리될 수 있다면 오미크론 유행 다음에는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체계로 전환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확진자 감소가 예상되는 시기에 대해선 “정점 구간에 진입했고 확진자 증가 추이가 정체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감소세가 언제 나타날지 현재 판단하기 어렵다. 금주 상황을 더 봐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 특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