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감, 호흡곤란 등 각종 코로나 후유증이 완치 후 최장 21개월 이상까지도 나타난다는 국내 연구 결과들이 나왔다. 코로나 입원 환자 중 최대 79%까지 장기간 증상이 나타날 정도로 후유증이 광범위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국립보건연구원과 국내 의료기관들이 코로나 환자 후유증을 조사한 결과, 피로감과 호흡곤란, 건망증,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 3개월 이상 가는 증상이 조사 대상 20~79%에서 확인됐다”고 31일 발표했다.
경북대병원에서 2020년 2~3월 확진된 81명을 조사해보니 64명(79%)이 21개월 지난 시점에서도 건망증(32.1%), 피로감(30.4%), 수면장애(23.5%) 등이 지속됐다. 전체 조사 대상의 75.9%는 12개월 이상 후유증이 나타났다.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47명을 조사한 국립중앙의료원 연구에서도 일부 환자가 19개월까지도 피로(31.7%), 운동 시 호흡곤란(17.1%) 등 증상을 호소했다. 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토대로 2020년 1~9월 코로나 치료를 받은 2만1615명을 조사했더니 4139명(19.1%)이 후유증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감 환자 후유증들과 비교할 때 코로나 환자에서 기분장애·치매·심부전·탈모를 겪을 가능성도 더 높게 나왔다. 연세의료원이 2021년 4~10월 입원 환자를 조사한 데서도 코로나 후유증의 기준인 확진 3개월째 증상은 약 20%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앞서 해외에서는 코로나 감염자 중 30~40% 정도가 후유증을 겪는다는 연구가 나왔다. 코로나를 심하게 앓은 환자들은 후유증도 많이 겪는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완치 후에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스트레칭 등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게 좋다. 코로나 회복 클리닉을 운영하는 서울 역삼동 하나이비인후과병원 이상덕 원장은 “코로나 후유증에 대해 폐 CT, 후각 검사, 어지럼증 테스트 등 종합적인 진단과 처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