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유행 이후 국내 포털 사이트에서 ‘죽고 싶다’ ‘우울감’ 등의 단어 검색량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에는 지난 2월 고려대 의대를 졸업한 김지은·한주희씨가 학생 연구원으로 함께 참여했다.
연구팀은 주요 우울장애의 정의에 따른 16개 검색어를 선정해 얼마나 많이 검색되는지를 살폈다. 연구 결과 코로나 유행 전과 비교해 ‘의욕 저하’ ‘불면증’ ‘좌불안석’ ‘피로감’ 등의 상대 검색량이 유의하게 늘었다. 남성은 ‘우울감’과 ‘집중력 저하’를, 여성은 ‘무기력함’을 검색하는 경우가 늘었다. 특히 ‘죽고 싶다’와 ‘죄책감’은 유행 초기에는 증가하지 않았는데, 유행이 길어지면서 검색량도 유의하게 늘었다.
연구팀은 코로나 유행 첫해인 2020년 1년간 검색량을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됐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에서 ‘우울감’ ‘좌불안석’ ‘집중력 저하’ ‘우유부단’ 등에 대한 검색량이 유의하게 늘었다.
‘불면증’ 등의 검색량은 유행 초기에 높다가 낮아졌다. ‘죽고 싶다’는 유행이 지속되면서 계속 증가했다.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 자살 등을 생각하는 중증 단계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팀의 해석이다.
천 교수는 “코로나 이후 우울증 관련 증상의 검색량 추이가 증가한 것을 통계적으로 증명해 그간 추측해온 코로나와 대중의 우울감 상관관계를 간접적으로 증명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