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가 “전공의들에게 내린 부당한 행정명령의 취하와 증원 과정을 멈추는 것이 대화의 자리로 이끄는 정부의 최소한의 성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이날 의협 비대위는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대 정원 증원 저지’ 브리핑을 열었다. 김택우 의협 비대위장은 “현재 상황에서 전공의, 학생(의대생)을 배제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며 “이를 ‘대화 거부’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오는 25일부터 시작되는 의대 교수들의 사직 움직임과 관련해 김성근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교수 사직은 전공의 사직과 달라서 교수 한 명이 빠짐에 따라 병원 진료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몇 명의 교수가 사직하는 지 관심을 가지지 마시고 교수들이 사직 하지 않도록 정부에서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의대 증원 규모와 관련한 연구 논문을 공모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의협 비대위는 “합리적 논의 기구를 만드는 데는 서울의대 비대위에서 제안해주신 연구 과제가 포함돼야 한다”며 “저희가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던 합리적 기구를 통한 추계라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고 했다.
의협은 정부로부터 ‘5+4 협의체’ 제안 자체를 받은 적 없다는 입장이다. 김성근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정부가 의협 측으로 5+4 대화를 제안한 적은 없다”며 “어떤 형태더라도 결정권이 없는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