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신임 회장이 정부의 수련 특례·입영 연기 등을 두고 “후속 조치에 불과하다”며 “정부는 올해 의대 교육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회장은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제43대 집행부는 현 사태를 해결하고 대한민국 의료 환경의 정상화를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며 “국민 건강과 생명을 책임져야 할 정부는 더 이상 시간 끌기식의 안이하고 무책임한 대응을 중단하고, 문제를 일으킨 당사자가 결자해지한다는 마음으로 (사태 해결에)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전히 정부와 여당은 사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없이 후속 조치에 불과한 전공의 수련·입영 특례 방침을 내세우고, 이미 실패했던 여의정 협의체를 재개하자고 말한다”며 “분명히 밝히지만 현 상태로는 의대 교육이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정부 스스로 인정하고, 2025년 의대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임시방편이 아닌 제대로 된 의학 교육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우선 사태 해결과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뚜렷한 계획과 명확한 방침을 내놔야만 의료계 역시 2026년 의대 정원 문제를 비롯한 의대 교육 계획 역시 논의하고 대화할 수 있다”고 했다. 정부가 사직 전공의들에게 적용키로 한 수련 특례·입영 연기, 의학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예산 투입만으로는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과거와 같이 정부 정책에 끌려가는 게 아니라, 정책을 먼저 생산하고 선도하는 의료 전문가 단체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충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