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건강을 위해 은행 적금처럼 젊을 때부터 근육을 쌓아두는 ‘근육 적금’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노인의 경우, 오히려 체중이 늘수록 심혈관·대사 질환 위험이 줄었다. ‘비만의 역설’이 확인된 것이다.
11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박준희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교수와 원장원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노인의 근육량 변화에 따른 심혈관·대사 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70~84세 노인 1634명 중 근감소증이 있는 사람 353명과 근감소증이 없는 사람 353명을 연령대와 성별이 같도록 짝지어 뽑아 2년 동안 체성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비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근감소증이 없는 남성 노인은 근육량을 키울수록 심혈관·대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됐다. 팔·다리의 근육량이 1㎏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41% 감소했다. 고지혈증 위험도 28% 줄었다. 반면 허리 둘레가 1㎝ 늘수록 고혈압 위험이 32%씩 증가했다.
이와 달리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 노인의 근육량 증가는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없었다. 오히려 체중이 증가할 수록 심혈관·대사 질환이 감소하는 ‘비만의 역설’이 확인됐다.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 노인의 체중이 1㎏ 증가하면 고지혈증 위험이 21% 감소했다.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의 경우, 뒤늦게 근육량을 늘려도 심혈관·대사 질환 발생을 막는 데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 노인은 근육량만 키웠을 때 고지혈증 위험이 3배로 높아졌다. 근육 내 지방도 함께 증가하면서 부정적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해석이다.
연구팀은 “남성은 근육량을 키우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지만, 여성은 근육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유산소 운동 등을 병행하며 근육 내 지방 축적을 막아 근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심혈관·대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근감소증이 일단 생기면 남녀 모두 근육량을 늘려서는 심혈관·대사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건강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근감소증이 생기지 않도록 평소에 꾸준히 근육량을 유지하고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통해 미리 ‘근육 적금’을 들어야 100세 시대를 현명하게 보낼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유럽의 폐경 및 남성 갱년기 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마투리타스(Maturita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