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불렸던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이 계속되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57%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와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이혁희 교수,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 연구팀은 27일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소화기학회’에 게재됐다.

대사 이상 지방간은 음주와 큰 관련이 없다. 보통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으로 불렸지만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 대사 질환과의 관련성을 강조하기 위해 명칭이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으로 바뀌었다.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약 730만명의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 유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 등을 12년간 추적 관찰했다. 과체중이나 복부비만, 혈당 장애, 고혈압, 높은 중성지방,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 등을 가졌는지 여부를 따졌다.

연구 결과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이 계속되거나 새로 생기면 질병이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각각 57%, 2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이 개선되면 질병이 지속되는 경우보다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16% 감소했다. 김승업 교수는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 유무와 심혈관 위험 인자의 변화가 심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