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증 외상 환자를 전담할 외상 전문의를 양성하기 위해 1인당 1억24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했지만, 정작 지원자는 전국에서 2명에 그친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4일까지 ‘외상학 세부 전문의’ 수련 지원자 7명을 모집했다. 하지만 신청자는 아주대병원 외과 전문의와 제주한라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단 2명뿐이었다. 두 전문의는 내달부터 수련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당초 올해 정부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전액 삭감되며 폐지 위기에 놓였다. 그러나 지난 2월 국내 유일의 외상 전문의 수련 센터인 고려대 구로병원이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고, 정부는 응급의료기금 운용 계획을 조정하며 8억6800만원을 긴급 편성해 사업을 가까스로 재개했다.
정부는 이번에 수련 인원을 5명에서 7명으로 늘리고, 수련 가능 병원도 5곳에서 17곳으로 확대했다. 지원 가능 진료과도 외과·정형외과 등 4개에서 응급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를 추가해 6개로 확대했다. 수련에 참여하는 전문의 1인당 연간 1억2400만원을 지원키로 했다. 그런데도 모집 결과는 기대에 크게 못 미친 것이다. 정부는 오는 21일까지 추가 모집을 진행하기로 했지만, 얼마나 지원자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외상외과에 대한 구조적 기피와 맞닿아 있다고 지적한다. 외상 전문의는 교통사고나 추락 등으로 심각한 외상을 입은 환자의 응급 수술·처치를 맡지만, 업무 강도가 높고 의료 사고 위험도 커 대표적 기피 과로 꼽힌다. 실제 외상 전문의 자격을 유지하려는 의사도 줄고 있다. 대한외상학회에 따르면 올해 외상학 세부 전문의 자격 갱신 대상자 58명 중 12명만 자격을 갱신해 갱신율은 20.7%에 그쳤다. 2011년 제도 도입 이후 최저치다. 외상학 세부 전문의 자격은 5년마다 갱신해야 한다. 자격을 유지하려면 학회 보수 교육을 1회 이상 듣고, 학술 대회 참석 등으로 일정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