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의과대학. /뉴스1

정부와 대학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한 가운데, 강경 의대생들은 투쟁 기조를 계속 이어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유급 위기’가 자신들의 협상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봤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의대 3곳의 학생들은 합동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학교 학생회장 3명은 PPT 20여 장 분량의 문건을 통해 향후 투쟁 방향 등을 설명했다고 한다.

이들은 정부가 제시한 ‘모집 인원 3058명’안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제안한 교육과정 ‘5.5년제’에 대해 “집중해야 할 의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의대생의 복귀 여부와 해당 방안들의 시행 여부에 큰 상관관계가 없고, 복귀 명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부 대학 의대생들의 유급이 확정됐고, 나머지도 유급 위기인 데 대해서는 자신들의 협상력이 도리어 커질 수 있는 기회로 해석했다. 대학(병원) 입장에서는 학생과 수련병원 인력 공백이 1년 추가되는 데다,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 조기 대선을 앞둔 정치권 상황을 놓고는 “당선 직후 허니문 기간에 의정 갈등을 바라는 (대선) 후보는 없다”고 했다.

의대협은 스스로와 대전협을 “의료계 목소리의 원천”으로 평가했다. 의정 갈등 국면에서 전공의와 의대생의 역할이 컸고, 의료계의 발언력이 커진 것도 본인들의 투쟁 덕분이라는 것이다. 휴학 투쟁 이유에 대해서는 “의료 인력 수급을 담당하는 전문 집단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했고, 미등록·미복학을 놓고는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했다. 최근 수업 거부에 대해서는 “전국 의대생이 모두 한자리에서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의료계 내부 상황에 대한 평가도 있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에 대해서는 “전공의, 학생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려고 하지만 교수, 개원의, 시도의사회 압박을 무시하긴 어렵다”고 했다. 의협 구성원인 교수, 개원의, 시도의사회에 대해서는 “대선 캠프(합류)를 위해 (사태의) 조기 종료를 원한다”고 해석했다.

의대 학장 단체인 KAMC에 대해서는 “교육자라기보다 이권 카르텔에 가깝다”며 노골적으로 반감을 드러냈다. 이들은 KAMC를 놓고 “지난 3월 제적 협박을 주도했다”며 “제적 협박에 따른 등록 전환으로 이득을 취했고, 제주도 호화 호텔을 예약해 축하 파티까지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누구에게 언제 무엇을 요구할 것인가를 고려하되, 적절한 시기가 올 때까지 준비해야 한다”며 “(대선 국면인) 현재로써는 누구와도 대화를 시작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관 업무를 통해 추후 대화 상대를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해당 문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특정 학교에서만 (얘기가) 이뤄진 내용으로, 의대협과는 관계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