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 기자
입력 2023.04.20. 10:46
TSMC 로고./로이터 연합뉴스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정부에 최대 20조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하지만 미 당국이 보조금 수령 기업에 내건 일부 ‘가드레일(안전장치)’ 조항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WSJ는 소식통을 인용, “TSMC가 미국 반도체법으로 한 생산라인 당 최대 60억~70억 달러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며...

오로라 기자
입력 2023.04.12. 03:00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3개 분기 연속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DS) 매출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일(현지 시각) TSMC가 공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TSMC는 올 1분기(1~3월)에 누적 매출 5086억3300만 대만달러(약 22조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매출은 14조~15조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TSMC는 지난해 3분기에 사상 처...

박순찬 기자
입력 2023.03.16. 03:00
이재용(오른쪽)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삼성전자 천안캠퍼스를 찾아 반도체 공정을 점검하고 있다. 왼쪽은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DS부문장). /삼성전자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대폭 풀고 삼성이 300조원을 투자해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은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패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해석된다. 메모리 반도체 한파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수조원대 적자의 수렁에 빠지고, 대만 TSMC가 세계 반도체 1위 기업으로 부상한 가운데 자칫 실기(失期)하면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낙오할 수 있다는 위기감 속...

박순찬 기자, 오로라 기자
입력 2023.03.15. 03:08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기업) 대만 TSMC가 반도체 불황 속에도 올 들어 두 달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전 세계적인 ‘챗GPT’(대화형 AI) 열풍에 힘입어 AI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반도체 GPU(그래픽처리장치) 수요가 늘자, 이 물량 대부분을 위탁 생산하는 TSMC가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는 것이다. TSMC는 2월 매출이 작년보다 11.1% 증가한 1631억7400만대만달러(약 7조원)를...

워싱턴=김진명 특파원
입력 2023.03.14. 22:56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P 연합뉴스

중국이 대만 침공에 성공하면 중국이 세계적 반도체 회사 TSMC의 공장을 확보하기 전에 미국이 이를 파괴할 것이라고 백악관 전직 고위 당국자가 밝혔다. 13일(현지 시각) 미국의 뉴스 사이트 ‘세마포(Semafor)’에 따르면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국제안보포럼을 계기로 이 회사 에디터와 만나 “미국과 동맹들은 절대로 그 공장들이 중국의 손에 떨어지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임기 후반인 2019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국가안보회의(NSC)를 이끌었다.

박순찬 기자
입력 2023.03.13. 18:05

작년 4분기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대만 TSMC간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파운드리 시장이 전분기(3분기) 대비 4.7% 감소한 가운데, 양사 모두 매출이 줄었지만 TSMC의 타격이 적었기 때문이다. 13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1위 TSMC는 점유율 58.5%, 2위 삼성전자는 15.8%를 기록했다. 점유율 격차는 42.7%포인트로...

오로라 기자
입력 2023.03.06. 11:40
대만 TSMC가 대만 주요 대학에서 부스를 차리고 채용설명회를 연 모습./TSMC

‘위탁 생산 대국’ 대만의 대표 기업인 TSMC와 폭스콘이 글로벌 불황에도 공격적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 주요 IT기업들이 인력을 감축하고 투자를 지연하는 것과 상반된 행보다. 지난 4일 대만 재경신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TSMC는 대만 16개 주요 대학에서 채용설명회를 열고 올해 6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한다고 밝혔다. 학사부터 석사·박사까지 폭 넓게 이공계 인재들을 채용하겠다는 것이다. TSMC는 “석사급 ...

타이난(대만)=이벌찬 특파원
입력 2023.01.25. 03:00
Workers are seen as taiwanese chip giant TSMC holds a ceremony to start mass production of its most advanced 3-nanometer chips in the southern city of Tainan, Taiwan December 29, 2022. REUTERS/Ann Wang

지난 16일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서 남쪽으로 300㎞ 떨어진 타이난시의 TSMC 반도체 클러스터는 거대한 공사장을 방불케 했다. TSMC는 이곳에서 세계에서 가장 앞선 3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와 5나노급 초미세 공정 기술을 적용한 ‘제18공장(Fab)’을 운영 중인데, 인근 부지에 증설 공사가 한창이었다. 90만6000㎡(약 27만4000평) 부지에 이미 들어선 라인 6개(P1~P6) 외에, 3나노급 반도체를 생산...

룽탄·신주(대만)=이벌찬 특파원
입력 2023.01.25. 03:01
지난 16일 대만 타이난의 남부 과학단지 내 증설 중인 TSMC 공장의 모습. TSMC는 최첨단 공정인 3나노 반도체 양산을 위해 3개 공장을 신설 중이다. /타이난=이벌찬 특파원

대만은 TSMC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거대한 ‘반도체 벨트’ 같았다. 실제로 TSMC는 대만 남북 260㎞를 연결하는 4곳의 핵심 과학단지(룽탄·신주·중부·남부과학단지)에 7나노 이하 초미세 공정을 다루는 대규모 반도체 생산 기지를 조성했다. TSMC는 올해 룽탄 과학단지에 1나노 공장, 신주·중부 과학단지에 2나노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작년부터 올 연말까지 착공하는 TSMC 초미세 공정 라인만 11곳에 달한다. 동시에 인근 ...

변희원 기자
입력 2023.01.25. 03:04
메모리반도체 16라인 기공식때의 고 이건희회장 - 삼성전자 이건희(왼쪽) 회장과 이재용(왼쪽에서 세번째) 부회장 등이 2010년 5월 17일 경기도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메모리반도체 16라인 기공식’에 참석해 삽을 뜨고 있다. 이 행사 일주일 전, 이 회장은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고 5대 신성장 사업에 10년 동안 23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삼성전자

고(故) 이건희 회장이 삼성전자 경영권을 이어받은 1987년에 모리스 창 회장은 TSMC를 설립했다. 각각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온 두 사람 사이엔 각별한 인연이 있다. 창 회장은 지난해 인터뷰에서 1989년 대만을 방문한 이 회장과 만난 일화를 전했다. 창 회장, 에이서 컴퓨터 창업자 스전룽(施振榮)과 아침을 먹는 자리에서 이 회장은 창 회장에게 “메모리 반도체를 하려면 엄청난 자본과 인재가 필요하다. 그러니 당...

박순찬 기자, 임경업 기자
입력 2023.01.26. 03:00
세계 파운드리 시장 1·2위를 달리고 있는 TSMC 로고(왼쪽)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오른쪽).

작년 2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S22에 당초 담으려던 자체 두뇌 반도체(AP) ‘엑시노스2200′을 쓰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삼성은 부랴부랴 미국 퀄컴의 ‘스냅드래건8′ 반도체로 교체했다. 삼성전자가 자사 파운드리 4나노 공정에서 생산하려던 것이었지만, 낮은 수율(收率·생산품 중 정상품 비율)이 발목을 잡아 납기를 제때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삼성 사정을 잘 아는 재계 관계자는 “당시 4나노 수율은 양산을 ...

오로라 기자
입력 2023.01.26. 03:00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라인. /삼성전자

지난해 삼성전자의 시설 투자액은 약 54조원으로, 대만 TSMC의 연간 투자액(약 45조원)보다 9조원가량 많았다. 하지만 파운드리만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KB증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에 30조원을 투자했고, 파운드리에는 15조원을 투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운드리 한 분야에만 고스란히 45조원을 쏟아부은 TSMC의 3분의 1 수준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현재 TSMC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이 삼성의 3배...

임경업 기자
입력 2023.01.27. 03:00

세계 3대 AP(스마트폰 두뇌 반도체) 업체로 꼽히는 대만 미디어텍은 원래 대만 2위 파운드리사 UMC의 사내 조직이었다. 컴퓨터 CD 드라이브용 반도체를 설계하다 1997년 분사했고, 대만의 수많은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중 하나에 불과했다. 미디어텍은 2010년 전후 스마트폰 확장기를 맞아 초고속 성장을 거듭했다. TSMC가 미디어텍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TSMC는 첨단 나노 공정이 개발될 때마다 경쟁 업체(UMC)에...

박순찬 기자
입력 2023.01.27. 03:02
세계 파운드리 시장 1·2위를 달리고 있는 TSMC 로고(왼쪽)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오른쪽).

“메모리와 파운드리는 다른데, 업(業)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30년째 메모리 반도체 시장 1위를 지켜온 삼성전자는 뒤늦게 ‘을(乙) 비즈니스’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에 뛰어들었다가, 신뢰 문제로 많은 내홍을 겪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경계현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해 기자 간담회에서 “메모리는 ‘쇼티지(shortage·공급 부족)’가 발생해도 고객은 우리를 원망하지 않고 ...

오로라 기자
입력 2023.01.28. 03:36
모리스 창, 차이잉원 총통 대신해 APEC 대만 대표로 활동 - 지난 2020년 11월 10일 TSMC 창업자 모리스 창(왼쪽)이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함께 총통부에서 걸어 나오고 있다. 이날 차이잉원 총통은 “2020년 APEC 정상회의에 모리스 창이 나를 대신해 대만 대표로 참석한다”고 밝혔다. 모리스 창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총통을 대신해 APEC 대만 대표로 참석했다. /대만 총통부

지난 7일 대만 입법원(국회)은 ‘대만 반도체법’으로 불리는 ‘산업 혁신 조례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지난해 6월 대만 경제부가 “첨단 산업이 대만에 뿌리 내리도록 잡아둬야 한다”며 입법 예고 반년 만에 초고속으로 처리한 것이다. 반도체에 관한 한 여야(與野)가 없다. 이 법의 핵심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업의 R&D(연구개발) 비용 25%를 세액공제 해주는 것이다. 기존 법안의 공제 비율(15%)에서 10%포인트가 ...

변희원 기자
입력 2023.01.30. 03:00
美엔비디아 CEO와 대화하는 TSMC 회장 - 지난달 6일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 세워진 TSMC 공장의 장비 반입식에서 마크 리우(왼쪽) TSMC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날 TSMC는 4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제2반도체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지난달 13일 팀 쿡 애플 CEO(최고경영자)는 트위터에 일본 구마모토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한 사진과 함께 “소니는 세계 최고 카메라 센서를 만들어온 애플의 파트너사”라고 올렸다. 구마모토는 대만 TSMC와 소니가 공동 투자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장을 짓는 곳으로, TSMC는 이곳에서 세계 이미지 센서 시장 1위인 소니 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센서는 시장 2위 삼성이 특히 주력하는 분야로 미국(애플)...

박순찬 기자
입력 2023.02.01. 03:00
텍사스에 투자했더니… 美 '삼성 고속도로' 선물 -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경계현(왼쪽) 대표이사 사장이 올해 1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 건축 현장을 방문해 빌 그라벨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장으로부터 선물받은 ‘삼성 고속도로’ 표지판을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021년 부지 선정을 발표한 이곳은, 3년 만인 내년에 4나노 첨단 반도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페이스북

“용인 8년, 평택 7년, 가오슝(대만)·텍사스(미국) 3년, 시안(중국) 2년.” 각각 반도체 공장 부지 선정부터 실제 가동에 들어갈 때까지 걸린 기간이다. 한국 반도체 업계에 회자되는 이 말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이 대만, 미국, 중국 대비 최소 2배에서 많게는 4배의 기간이 걸린다는 뜻이다. 미국 1위 메모리 기업 마이크론은 작년 10월 뉴욕에 신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준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