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오상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

학창 시절 세계사 수업에서 ‘동인도 회사’라는 개념이 흥미로웠다. ‘16세기에 웬 회사’라는 궁금증은 제국주의와 대항해시대를 이해하는 열쇠였다. 동인도 회사는 유럽 열강이 아시아 진출을 위해 설립한 일종의 무역 회사였다. 하지만 단순한 상업 조직을 넘어 사법·치안권, 외교·군사행동권까지 행사했다. 요즘 표현으로 민관 합작 모델이었다.

동인도 회사는 자원을 수탈하면서 식민지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하지만 거버넌스 관점으로만 좁혀 보면 국가의 목표를 민간의 역량으로 실현한 나름 혁신적 접근이었다. 식민지 경영을 민간이 주도하며 신속하고 유연한 의사 결정, 전문적 관리, 효율적인 자원 동원 능력을 발휘해 제국주의 팽창에 날개를 달아주었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식 패권 시대는 저문 지 오래다. 하지만 총성 없는 기술 패권 시대가 막을 올렸다. 선진국은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그 성과를 보급·확산하는 데 주력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로드맵, 이니셔티브, 프레임워크 같은 정책들도 쏟아내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R&D 성과가 세상의 변화를 이끄는 혁신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여전히 드물다. 그 원인은 단순한 정책·제도·역량의 측면이 아니라 더 큰 구조적 맥락에서 찾아야 한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연구는 기본적으로 공익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중점을 둔다. 하지만 연구 성과를 민간으로 이전하고 확산시키며 실용화하는 건 영리를 추구하는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좌우된다. 그래서 기초 연구의 성과가 ‘죽음의 계곡’을 넘어 시장에서 꽃피우려면 과감한 도전과 위험 감수가 필수 조건이다. 하지만 공공 연구 기관의 기술 사업화 전담 조직(TLO)은 이런 역할 수행에 태생적·구조적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도국들은 새로운 민관 합작 모델을 창안해 냈다. 독일 막스플랑크, 영국 옥스퍼드대학, 일본 이화학연구소, 이스라엘 와이즈만 등 세계적 연구 기관들이 소위 ‘이노베이션 회사’라 불리는 민간 기술 사업화 전문 조직을 운영 중이다. 동인도 회사만큼이나 생소한 이 모델은 공공 영역의 기술에 민간의 역량과 자원을 결합해 파괴적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코로나 팬데믹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성공은 옥스퍼드대의 기술과 ‘옥스퍼드 이노베이션’의 사업화 역량이 결합한 성과였다.

최근의 혁신 경쟁은 민간 주도와 정부 지원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주·항공, 양자 기술 같은 아직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첨단 분야에서도 민간 기업이 정부 지원과 시장의 선행 투자에 힘입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막대한 정부 자금이 투입된 연구 성과의 원활한 기술 사업화에서 출발한다. 공적 가치와 민간의 강점을 융합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기존 TLO 체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를 통해 정부 R&D 성과가 파괴적 혁신의 마르지 않는 마중물이 되어야겠다.

대항해시대 서구 열강의 식민 정책을 상징하는 동인도 회사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윤리적·법률적 한계를 안은 채 잘못된 항로로 나아갔지만, 동인도 회사가 펼쳤던 민관 합작의 돛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교훈을 남긴다. 공공 연구 성과와 민간 기술 이전 역량이 결합한 이노베이션 모델이 기술 패권 시대, ‘거친 혁신의 바다’를 건널 새로운 돛이 되길 기대한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