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에서 철거 중인 건물이 갑자기 무너지면서 건물 앞 정류장에 정차하려던 시내버스를 덮쳐 승객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일어났다. 조금만 주의했다면 막을 수 있었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었던 사고였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철거 업체는 건물 꼭대기 층부터 차례로 허물겠다는 해체 계획서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고 한다. 중간 층부터 무너뜨린 탓에 붕괴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건물과 차도 간 거리는 3~4m에 불과하고 건물 바로 앞에는 버스 정류장이 있다. 붕괴 사고가 생기면 차도를 운행 중인 차량과 승객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예견할 수 있다. 그러나 차도 통제를 하지도 않았고 버스 정류장을 옮기지도 않았다. 사고 직전에는 건물에서 소음이 나며 이상 징후를 보였다고 한다. 그러나 차량 통제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안전 관리를 담당하는 감리자도 사고 당시 현장에 없었다고 한다. 단계별로 지켜야 할 안전 원칙을 지켰다면 사고를 막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철거 공사 시간도 문제다. 건물이 무너지며 버스를 덮친 것은 오후 4시 22분이다. 많은 사람과 차량이 오고갈 때다.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는 철거 공사를 이런 시간에 해야 할 이유가 있나.
이 사고는 2019년 7월 서울 잠원동에서 발생한 사고와 닮은꼴이다. 그때도 철거 중인 건물이 도로 위로 무너지며 지나던 차량 3대를 덮쳤다.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정부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2년 만에 거의 같은 사고가 터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 야당 때 모든 사고는 정권 탓인 양 몰아가던 사람들이 정권을 잡았는데도 사고는 반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