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 경기를 본 사람들은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국 선수들이 별다른 접촉 없이 중국 선수를 추월했는데도 ‘레인 변경 반칙’이라며 전원 실격 처리됐다. 결승에 오른 중국 선수는 헝가리 선수와 밀고 당기는 몸싸움을 벌였는데도 반칙은 1등으로 통과한 헝가리 선수에게만 주어졌다. 금메달은 중국 차지였다. 5일 쇼트트랙 혼성 계주 준결승에서도 중국은 앞서 달린 국가들이 ‘반칙’을 했다는 판정 덕분에 결승에 올랐다. 중국 선수는 1위로 결승선을 넘지 않아도 금메달을 따고 있다. 올림픽 등에서 개최국 ‘텃세’는 흔히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정도가 있다. 베이징에선 도를 넘고 있다.
중국의 ‘메달 공정’은 시진핑 공산당 총서기의 3연임 대관식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올해 말 3연임을 확정할 공산당 대회를 앞두고 베이징 올림픽을 시진핑 업적으로 포장하려는 것이다. 최근 중국 공산당은 대입 시험에 ‘시진핑 사상’ 문제를 출제하고, 시진핑에 대해 ‘살아 있는 부처’라는 표현까지 쓰고 있다. 지금 베이징 올림픽에서 벌어지는 무리한 일들도 시진핑의 ‘중화 부흥’을 선전하려는 것 아닌가. 중국이 금메달을 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종목인 쇼트트랙이 집중적인 공략 대상이 된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스키점프 단체전에서 독일·오스트리아·노르웨이·일본 선수가 ‘복장 위반’으로 무더기 실격된 초유의 일도 동계 스포츠 강국의 메달 획득을 방해해 중국의 전체 순위를 올리려는 것 아니냐는 추정까지 나온다.
중국 공산당은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국제법이나 국제사회의 관례, 여론 등은 쉽게 무시한다. 베이징 올림픽을 보며 중국 공산당의 이런 행태가 스포츠에서만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