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웅 광복회장이 2021년 8월 15일 오전 옛 서울역사(문화역서울 284)에서 열린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사전에 녹화된 기념사를 하고 있다. /KTV 캡처

김원웅 광복회장이 독립유공자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주겠다며 마련한 국회 카페 수익금 수천만원을 횡령하고 비자금을 조성해 사적으로 써왔다는 의혹이 국가보훈처 감사 결과 사실로 확인돼 경찰에 수사 의뢰됐다. 보훈처는 “광복회가 허위 발주 또는 원가 과다 계상 등으로 6100만원을 마련하는 등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했다. “비자금 중 1000만원은 광복회장 통장으로 입금된 후 여러 단계를 거쳐 현금화된 뒤 사용됐고 나머지 자금은 필요 시 중간 거래처가 대납하게 하는 방식으로 집행됐다”고도 했다. 광복회장이 범죄 조직과 같은 ‘돈세탁’, ‘불법 갑질’ 등을 저질러왔던 것이다. 처음 의혹이 제기되자 김 회장은 “(폭로한) A씨가 비리를 저지르고 회장에게 덮어씌우려 한 것”이라고 했는데 이 또한 새빨간 거짓말이었다.

광복회 건물에 가족 회사를 차리고 광복회장 직인이 찍힌 공문까지 활용해 공공 기관을 상대로 영업을 시도했다는 의혹도 대부분 사실로 확인돼 수사 의뢰됐다. 이 회사의 법인 등기에는 김 회장의 며느리, 조카, 처조카 등 3명이 최근까지 임원으로 등재돼 있다가 언론 취재가 시작되자 그만뒀다.

군사정권 시절 공화당과 민정당 당료로 일했던 김 회장은 문재인 정권 들어 광복회장을 맡으면서 이 정권의 입맛에 맞는 ‘죽창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21세기에 난데없는 ‘친일파’ ‘민족반역자’ 운운에 앞장섰다. 정권 권력자들에겐 독립운동가 이름의 각종 상을 뿌렸다. 그런 김 회장이 알고 보니 독립유공자 자녀들 돈을 빼돌리는 파렴치범이었다. 선열들의 독립운동을 팔아 제 잇속을 차린 것이다. 김 회장은 즉각 사퇴하고 경찰은 신속한 수사를 통해 전모를 밝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