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은 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층의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는 14일부터 전국 경로당의 운영과 노인복지관의 대면 프로그램 운영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사진은 서울 중구의 한 경로당 입구./뉴스1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13일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5만6431명을 기록하면서 또다시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주말임에도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보다 1490명 늘어 4일 연속 5만명대를 기록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다음달 초 하루 확진자가 최대 36만명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아무리 오미크론 변이는 중증도가 낮다고 하지만 이렇게 빠른 속도로 확진자 수가 늘어나면 입원 환자수, 위중증 환자 수도 급증하는 것 아닌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코로나에 취약한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원, 장애인 복지시설 등에서 잇따라 코로나 집단감염이 발생해 우려를 더하고 있다. 13일 방역당국이 내놓은 코로나 발생 현황을 보면 주요 집단감염 사례 25건 중 20건(80%)이 요양병원·시설, 노인시설 관련 감염이었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이 계속 거리 두기 체계를 완화하겠다는 신호를 보내면서 국민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할 수 있으면 내주라도 조정하겠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얼마 전에는 코로나를 ‘계절 독감’과 유사하게 관리하는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 전환할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완화 신호는 이미 방역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3차 접종(부스터샷)’이 하루 평균 32만명 정도에서 최근 평균 16만명 정도로 반 토막 났다. 방역 당국 신호에 굳이 백신을 맞아야 하느냐는 분위기가 생긴 것이다. 또 자가진단키트 구입도 쉽지 않은 데다 주변에 코로나 확진자가 나올 경우 언제 어떻게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명확한 지침도 알려지지 않아 검사조차 꺼리는 분위기도 생겨나고 있다. 그런가 하면 학원·독서실·스터디카페 등에선 좌석 한 칸 띄어 앉기 등을 해야 하고, 백화점·대형마트 등에선 판촉 행위 등을 금지하는 등 방역 수위를 높이는 분야도 생겨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오미크론 확진자 수의 정점을 확인하지 못했다. 위중증 환자가 어떤 패턴으로 얼마나 발생할지도 불확실하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 당국이 섣부른 판단으로 헷갈리는 신호를 계속 보내면 자칫 2년 이상 버텨온 방역 체계가 한순간에 무너질 수도 있다. 대통령과 정권이 그토록 자랑해온 K방역은 제 구실을 포기한 상태에서 국민 개개인이 자신의 생명을 지켜야 하는 아슬아슬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