괸외 사전 투표 우편물 부천 선관위 국장실 보관 '논란'

오늘 투표와 개표를 앞두고 상당수 국민은 지난 5일 사전 투표 때와 같은 혼란이 또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선관위는 일반 투표자들의 투표가 마감된 오후 6시부터 7시 30분까지 확진자들도 일반 투표자와 같은 기표소에서 투표하면서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직접 넣도록 했다. 선관위가 비밀·직접투표라는 선거의 기본 원칙이 훼손됐다는 지적에 따라 내놓은 뒷북 대책이긴 하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선관위가 예측한 1시간 30분 안에 정상적으로 투표가 마무리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며칠째 하루 20만명 이상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선거일 당일 재택 치료자는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사전 투표를 한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도 선관위는 전혀 모르고 있다. 사전 투표 때 투표소당 유권자 평균 20명, 1인당 5분을 잡고 1시간이면 투표를 마칠 수 있을 것이라고 주먹구구 예측을 했지만 확진자가 몰린 일부 투표소에선 투표가 4시간 가까이 걸리기도 했다.

선관위는 기표된 투표용지 보관에도 관리 부실을 드러내고 있다. 투표용지 수만 장이 사각지대에 방치된 모습이 곳곳에서 발견됐다. 부천시 선관위에서는 7일 관외 사전 투표 우편물 5만여 장이 플라스틱 상자 안에 쌓인 채 발견됐다. 야당 관계자들이 사전 투표 관리 부실을 항의하려고 선관위를 찾았다가 이 모습을 확인했는데, 내부를 비추는 CCTV는 종이로 가려진 상태였다고 한다. 같은 날 제주에선 우도면 사전 투표함이 역시 CCTV가 없는 선관위 사무국장 사무실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을 빚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우편·사전 투표함은 영상 정보 처리 기기가 설치된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선관위 측은 “분류하기 전 마땅히 보관할 곳이 없어서 그랬다” “부정선거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선거가 얼마나 중대한 문제인지 인식하고 있다면 이렇게 함부로 일 처리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후진국에서나 벌어질 법한 일들은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9일 본투표와 개표에서 이런 일이 반복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