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친분을 쌓았던 인사의 아들이 대통령실 9급 공무원으로 특채된 데 대해 ‘사적 채용’ 논란이 불거지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직무대행이 “제가 추천한 것”이라고 했다. 권 대행은 “성실한 청년이었기 때문에 대선 캠프 참여를 권유했고 그 과정에서 역량을 인정받아 인수위와 대통령실에서 근무하게 됐던 것”이라고 했다. 이 직원의 아버지는 권 대행의 지역구인 강릉시 선관위원으로 재임 중이며 권 대행과도 가까운 사이라고 한다.
권 대행은 ‘압력’을 가했다는 표현을 썼다. 그는 “추천하고 나중에 장제원 의원에게 물어봤더니 (대통령실에) 안 넣었다고 해서 좀 뭐라고 했다. 넣어주라고 압력을 가했더니 자리가 없다고 했다”면서 “그러다가 나중에 넣었다고 해서 알아보니 7급도 아니고 9급에 넣었더라”고 말했다. 이 직원이 능력을 보여 인정받았다면 왜 대통령실 채용을 위해 ‘압력’까지 넣어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인사 추천’이라지만 국민 눈엔 ‘인사 청탁’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권 대행은 ‘별정직 9급’이라 높은 자리가 아니라고 하지만 대통령실은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아버지와 권 대행의 관계가 아니었다면 그런 기회를 얻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아빠 찬스’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데도 권 대행은 “최저임금보다 조금 더 받는 자리라 미안하다”고 했다. 그가 별것 아니라고 하는 9급 공무원이 되기 위해 매년 수만 명의 청년이 경쟁률 수십 대 1의 피나는 경쟁을 벌인다.
권 대행은 “문재인 대통령도 ‘전혀 모르는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겠냐’고 하지 않았나”라고 했다. 문 정권 청와대 인력의 상당수가 사적 인연을 통해 채용된 것이 사실이다. 김정숙 여사의 단골 디자이너 딸이 6급 공무원으로 채용돼 물의를 빚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일을 하지 말라고 다수 국민이 윤석열 대통령을 뽑아준 것이다. 대통령실 채용을 놓고 비슷한 논란이 거듭되고 있는 것은 ‘공정과 상식’을 내건 윤 정부의 정체성과도 관련 있는 일이다. 철저한 검증 절차 등을 통해 대통령실 인사 시스템이 공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재정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