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정무수석실 비서관 세 자리에 국민의힘 이용 의원, 김장수 장산정책연구소장, 김명연 전 의원을 유력하게 검토한다고 한다. 모두 4·10 총선에 출마했다가 낙선·낙천한 친윤 인사다. 지난달 윤 대통령이 정무수석에 기용한 홍철호 전 의원도 총선에서 낙선한 사람이다. 정무수석실의 비서관급 이상이 전원 낙선·낙천자들로 채워질 판이다.

정무수석실뿐 아니다. 시민사회수석엔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 공직기강비서관엔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이 임명됐다. 두 사람 모두 대통령실 비서관으로 근무하다 총선 출마를 위해 작년 12월 사직했지만 공천을 못 받았거나 선거에서 떨어진 사람들이다. 전직 비서관들을 다시 대통령실에 불러들인 것이다. ‘회전문 인사’라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은 총선 참패 직후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겠다”고 했다. 그것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조치가 인사다. 그런데 윤 대통령은 선거에서 떨어지거나 공천받지 못한 사람들을 대거 용산으로 불러들였다. 대통령실 비서관 출신 낙선·낙천자들까지 재기용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로 대통령실을 채우는 게 쇄신은 아닐 것이다.

총선에서 낙선·낙천하거나 불출마한 국민의힘 의원은 58명에 달한다. 상당수가 대통령실을 시작으로 정부와 공공기관 요직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역대 모든 정권에서 그랬다. 낙선·낙천했다고 요직에 기용하지 말란 법은 없지만 최소한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더구나 총선에서 참패한 정부라면 더욱 자세를 낮춰야 한다. 관행이란 이유로 회전문 인사, 낙하산 인사, 보은 인사가 판을 친다면 국민이 가만있지 않을 것이다.

어제 황우여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지명직 비대위원에 유상범·전주혜·엄태영 의원과 김용태 당선자를, 정책위의장에 정점식 의원을 지명했다. 비대위 7인 중 김 당선자를 뺀 6명이 친윤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당 조직·예산을 총괄하는 사무총장에도 친윤 성일종 의원을 임명했다. 3040 험지 출마자들 모임인 ‘첫목회’ 같은 비주류·원외 인사들은 철저하게 외면당했다. 대통령실도, 여당도 과연 혁신·변화할 의지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