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이용자를 대규모로 관찰하면서 이용자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엄청난 양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돈벌이에 이용해왔다고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발표했다. FTC는 지난 2019~2020년에 유튜브·틱톡·페이스북·X (옛 트위터) 등 13개 플랫폼을 운영하는 9개 빅테크 기업에 자료 제출을 요구했고, 4년간 연구 끝에 이 플랫폼들의 데이터 수집 및 사용 실태를 분석한 129쪽 분량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플랫폼들은 대부분 무료로 운용되면서 이용자 연령, 성별, 사용 언어는 물론이고 결혼 및 자녀 유무, 교육 수준, 소득 계층, 건강 상태, 종교까지 각 웹사이트에 숨겨진 기술로 클릭 하나하나를 추적해 세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이용자 데이터를 사실상 무기한 보관하고, 이를 특정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타깃 광고에 제공해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반면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방법은 손쉽게 제공되지 않아 속수무책으로 개인 정보를 빼앗기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심지어 많은 앱에서 청소년도 성인처럼 개인 정보 수집 대상이 됐다.
FTC는 빅테크들의 개인 정보 수집 실태가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자율 규제는 실패했으며, 이 기업들의 개인 정보 수집이 사생활을 위험에 빠뜨리고 자유를 위협하며 신원 도용에서부터 스토킹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FTC 판단이다.
미국에서는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FTC가 빅테크에 대한 규제를 높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소셜 미디어 사용량이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에선 빅테크에 의한 개인 정보 피해가 더 클 것이다. 전면적인 실태 파악에 착수해 관련 규제와 제도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